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472

영문명
Analysis of Latent Classes and Related Factor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송승원(Song Seungwon) 김미현(Kim Mihyun) 강예지(Kang Yej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0호, 141~16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단계에 진입한 여대생들의 진로성숙도의 변화패턴을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여 다수의 이질적인 잠재집단으로 분류하고, 개인, 가정, 학교변수들이 잠재집단 구분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7, 9, 10차(2011, 2014, 2016년) 자료 중 4년제 대학에 재학했던 또는 재학하고 있는 여학생을 분석하였다. 진로성숙도는 총 5가지 하위영역(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자신에 대한 지식, 진로행동, 독립성)으로 나누어졌으며, 진로 성숙도 변화에 따른 여대생들의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집단별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 GMM)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일에 대한 태도 영역은 급격한 감소집단, 유지집단, 감소집단, 자신에 대한 지식영역은 감소집단, 유지집단, 증가집단, 진로행동 영역은 유지집단과 증가집단, 독립성영역은 감소집단과 증가집단으로 분류되었으나, 계획성 영역은 잠재집단 발견되지 않았다. 개인, 가정, 학교변수가 잠재집단 분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개인변수 중에서는 예비적 직업탐색, 해외경험, 미래에 대한 기대, 자아개념, 인지성향욕구가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인 일에 대한 태도, 자신에 대한 지식, 진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학교변수 중에서는 대학소속감이 일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었다. 반면 가정변수 중에서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발견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ategorized into heterogeneous latent classes the patterns of change in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entering adulthood by applying Growth Mixture Model (GMM)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To carry out this, we analyze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attending/have attended a four-year college in the 7th, 9th, and 10th wave from KELS2005. Career maturity consists of five sub-domains (plan, attitude toward work, knowledge about oneself, career behavior, and independency). GMM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to classify the latent class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the change in career maturity and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each sub-domai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omain of attitude toward work was divided into sharp-decrease group, maintenance group, and decrease group; knowledge about oneself into decrease group, maintenance group, and increase group; career behavior into maintenance group, and increase group; independency group into decrease group and increase group; plan into neither latent group. After verifying the effect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level variables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among the individual variables were found expectations for future, preliminary job seeking, overseas experience, the need for cognition, and self-concept to have major influence; among the family variables were emotional support and household monthly income; among the school variables were the belonging to college, the location of college, and th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승원(Song Seungwon),김미현(Kim Mihyun),강예지(Kang Yeji). (2019).여대생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10), 141-168

MLA

송승원(Song Seungwon),김미현(Kim Mihyun),강예지(Kang Yeji).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2019): 141-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