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한계

이용수 714

영문명
Historical Significance and Its Limitation of Curriculum Reconceptualization Movem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채형(Park, Chae-Hy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4호, 311~33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Pinar와 그의 동료들에 의하여 주도된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성격과 의의 및 한계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은 교육 과정 연구의 방향을 ‘개발’에서 ‘이해’로 돌려놓으려는 일련의 시도를 가리킨다. 종전 까지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Bobbitt와 Tyler의 입장으로 대표되는 기술-공학적 접근 이 교육과정 연구의 주된 방향으로 자리잡고 있었다면, Pinar와 그의 동료들은 그 접근이 교육과정의 무대에 Schwab의 실제적 입장이 등장하는 시점을 전후로 사망했다고 선언하면서 그것에 대한 대안으로 기존의 교육과정을 다양한 시각에서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는 새로운 접근을 내세웠다. 교육과정은 다양한 시각의 이해를 기다리고 있는 해석되지 않은 텍스트라는 것이 그들의 한결 같은 입장이었다. 그리고 그들은 그러한 해석에 동원되는 다양한 시각을 최종적으로 11가지 범주로 정리 하고 있다. 그러나 ‘개발에서 이해로’라는 그들의 구호를 감안하면, 거기에는, 그들의 주장과는 달리, 교과에 관한 Bruner의 인식론적 이해나 Peters와 Hirst의 윤리학적 이해 등 다양한 견개가 포함될 수 있다.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이러한 확장을 위해서는 그 운동에 참여하는 학자들이 국외자적 관점에서 벗어나 당사자적 관점을 취할 필요가 있다. 그들이 추구하는 이해가 교육과정의 실제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하는 것과 더불어 그 일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가는 오직 그 과정에서 확인될 수 있다. ‘메타프락시스’라는 종교적 담론은 이 일과 관련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curriculum reconcepualization movement’ and its limitations. The movement is a serious of strugg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curriculum from development to understanding which is spearheaded by W. Pinar and his colleagues. As matter of fact, practical approach represented by the ideas for curriculum development of F. Bobbitt and R. Tyler had been a main direction in curriculum studies. But, Pinar and his colleagues made pronounce of the approach’s death around appearing of J. Schwab’s idea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curriculum studies, then they suggested new approach which focused on understanding curriculum established with various aspects. Their opinion is that curriculum is a text which is waiting for interpreting. They showd us the aspects as 11 categories finally: political, racial, gender, phenomenological, aesthetic, theological etc. But, considering the slogan as from development to understanding, the categories is expended to every kind of understanding with curriculum as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by J. Bruner and ethical understanding by P. Hirst and R. Peters different from their opinion. Personal aspect implied in meta-praxis as a kind of religious discourse is needed to expend the categories. I expect that we can grasp the significance of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in curriculum studies through the meta-praxis in the future.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성격
Ⅲ.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논리
Ⅳ.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Ⅴ. 나가면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채형(Park, Chae-Hyeong). (2016).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한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4), 311-330

MLA

박채형(Park, Chae-Hyeong). "교육과정 재개념화 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한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2016): 311-3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