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취약계층 독거노인 거주지역 분포와 근린환경 특성 연구 : 울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217

영문명
A Study on Distributio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Elderly Living Alone of Vulnerable Social Group : Focusing on Ulsan City Case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정수은(Su-Eun Jung)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9권 9호, 679~69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울산시를 대상으로 취약계층에 속하는 독거노인의 밀집 거주지역의 분포를 파악하고 이들 지역의 근린환경 특성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였다. 울산에서 취약계층 독거노인 밀집 거주지역은 중구, 남구, 울주군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지역을 입지적, 지형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도시 외곽지역에 위치하여 도시의 특성과 농촌의 특성을 둘 다 갖추고 있는 울주군(유형 1), 구도심에 속하여 기존에 거주하고 있던 인구가 가장 많은 중구(유형 2), 시의 중심기능을 갖추어 대중교통⦁보행환경⦁공공시설⦁주거생활편의시설⦁주거지⦁공원녹지시설이 잘 갖추어진 남구(유형 3)로 구분된다. 유형별 근린환경 요소들을 분석한 결과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유형 1 지역은 노인복지시설이 가장 많이 구축되어 있으며, 주거생활편의시설과 공공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지만, 대중교통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져 자치구의 외부 지역과 연계가 취약한 특성을 보인다. 유형 2 지역은 구도심이 위치한 중구로 경제적 취약계층이 가장 많음에도 불구하고 노인복지시설이 적게 갖추어져 있으나, 대중교통과 보행교통에 있어서 거주자 만족도가 높은 지역적 특성을 보인다. 유형 3 지역은 울산시의 중심업무지역을 포함하고 있고 노인복지시설도 많은 편이며, 근린환경요소들 전반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가 가장 높은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울산시가 앞으로 맞이할 초고령사회를 대비하여 취약계층 독거노인 밀집 거주지역에 특성을 고려한 고령친화적 도시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dwelling residential area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mong the vulnerable groups in Ulsan and to analyze and classify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se areas. In Ulsan, the populated area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vulnerable groups are Jung-gu, Nam-gu, and Ulju-gun. If the area is classified according to locational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Ulju-gun (type 1) located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which has both urban and rural characteristics, Jung-gu has the largest population in the old city. (Type 2) It is divided into Nam-gu (Type 3), which is equipp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pedestrian environment, public facilities, residential living facilities, residential area, and park green facil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by type, the difference is clear. In the Type 1 area,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are the most established, and the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convenience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is high. Type 2 area is Jung-gu, which is located in the old city center. Despite having the most economically vulnerable class, there are few elderly welfare facilities, but it shows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 high residents satisfac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and pedestrian transportation. Type 3 area includes Ulsan city s central business area, many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highest level of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neighboring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derives implications for the city of Ulsan to establish an age-friendly urban polic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welling area where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vulnerabl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3. 취약계층 독거노인 주요 분포 지역 및 근린환경 특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수은(Su-Eun Jung). (2019).취약계층 독거노인 거주지역 분포와 근린환경 특성 연구 : 울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 (9), 679-692

MLA

정수은(Su-Eun Jung). "취약계층 독거노인 거주지역 분포와 근린환경 특성 연구 : 울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9(2019): 679-6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