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개인 및 직무 변인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과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이용수 56
- 영문명
- A Study on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Personal and Job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세나(Saena Lee) 김남연(Namyun Kim)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2호, 459~48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개인 변인과 직무 변인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자각 실태, 그리고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실태와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개인 변인으로 보육교사 연령, 학력, 결혼여부, 보육경력, 가사노동시간을 설정하였고, 직무 변인으로는 근무하는 어린이집의 설립유형, 담당학급연령, 근무시간, 보조인력 유무를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업무와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 유무, 자각 증상 정도, 근골격 질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관심과 노력 정도, 교육의 필요성 등을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F-test, x2-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 결혼여부, 보육경력, 어린이집 설립유형, 담당학급연령, 근무시간에 따라 보육교사의 업무와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 및 통증의 자각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 부위 근골격계 통증 자각은 보육경력에 따라, 어깨 부위 근골격계 통증 자각은 보육교사의 연령과 보육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NIOSH 기준에 의한 유증상자는 78.9%였으나 판정 여부는 교사의 개인 변인 및 직무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연령, 결혼여부, 보육경력, 가사노동시간,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라 보육교사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관리 실태와 인식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근골격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교사 개인뿐 아니라 환경적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보다 거시적 차원에서 교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과 제도, 그리고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보육교사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ccording to personal and job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differences in actual conditions and awarenes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his study, the childcare teacher's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childcare experience, and housework hours were set as personal variables, and the type of childcare center established, age of the class in charge, working hours, and presence of assistant staff were set as job variables.
For the study, 223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level of perceived symptoms, level of interest and effort in preventing and manag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need for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and χ2-test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nd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warenes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and pain related to the work of childcare teachers depending on age, marital status, childcare experience, type of childcare center establishment, age of class in charge, and working hours. Second, the perception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neck area differed depending on childcare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shoulder area differed depending on the age and childcare experience of the childcare teacher. And although the number of symptomatic patients according to NIOSH standards was 78.9%, there was no difference in whether or not the diagnosis was made depending on the teacher's personal and job variable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tatus and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depending on age, marital status, childcare experience, housework hours, and type of childcare center establishment.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musculoskelet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s are not only personal factors but also environmental factors, and implications were obtained that policies, systems, and educational support for teachers' health promotion should be implemented at a more macro level. Thi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childcare teacher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언어의 접촉과 어휘 변화의 역동성
- 중국의 전통문화 재해석과 현대적 활용 - 閩南의 관우 문화를 중심으로
- 말뭉치에 나타난 독일어의 한국어 표기 오류 양상
-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과 의미 - 장정일 시를 중심으로
- 19세기 영국의 『삼국지연의』 번역: 조지 가디너 알렉산더를 중심으로
- 김수영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
- 이희경과 안공근의 상해임정 모스크바 특사활동 연구
- 시진핑 시대, ‘중화 우수 전통문화’의 함의와 발전 방향
- 에도시대(江戸時代)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1) - 무가(武家)의 재정 상황을 중심으로
- 중국과 프랑스의 교류에 관한 연구 - 시기별 교류를 중심으로
- ‘인문(人文) 정치’에 대한 시론 - 『논어』에 나타난 ‘인의 정치[仁政]’와 악셀 호네트(A. Honneth)의 ‘인정투쟁’을 연계하여
- U.S. Foreign Strategy and Multilateral Structures on China from Diversification to Discouragement: Multilateral Diplomacy Perspective
- 현직 국회의원의 SNS(Facebook) 활용이 재당선에 미치는 영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리빙랩의 관점에서 본 시민 주도 지역브랜드 창출: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사례
-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민첩성과 경력준비행동의 관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요인 탐색 : 놀이지원 역량, 긍정적 놀이신념,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운영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개인 및 직무 변인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과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