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빙랩의 관점에서 본 시민 주도 지역브랜드 창출: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사례
이용수 89
- 영문명
- Citizen-driven Local Innovation as a Living Lab Project: The Case of Hanji in Wonju, South Korea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하상섭(Sangsup Ha) 신상범(Sangbum Shi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2호, 357~396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원주시의 한지 문화산업 사례를 통해 지역의 특성에 기반한 브랜드를 창출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의 문화와 사회를 발전시키는 시도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이를 통해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주시는 한지가 발달한 곳이었지만 산업화 물결과 환경 문제 발생에 따라 전통 한지산업이 쇠퇴하였다. 1990년대 들어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원주시민들은 원주가 한지로 유명했다는 전통을 되살려 한지를 통한 문화축제 개최, 산업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군사도시로서의 성격이 강했던 원주시 이미지를 문화도시로 바꾸었고 한지 문화산업 육성을 통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였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로 한지는 오늘날 원주시를 대표하는 문화산업으로 발돋움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과 같이 지역브랜드 창출을 통한 지역의 이미지 개선 및 지역발전 시도를 리빙랩(Living Lab) 활동으로 규정하고 리빙랩의 관점에서 이 사례를 분석한다. 리빙랩이란 지역의 문제를 지역 주민이 스스로 해결하는 문제해결 방식이자 개방형, 참여형 혁신 생태계이다. 리빙랩은 사용자 주도, 공동 창조, 시민 과학, 그리고 가치 창출이라는 네 가지 핵심 속성이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 네 속성을 바탕으로 8개의 세부 지표를 개발하여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사례를 분석하고 이 사례에서 시민이 문제해결을 주도하는 정도, 여러 행위자가 협력하는 과정, 과학적 분석 과정, 그리고 혁신적 해결책에 의한 이익 창출 과정 등을 평가한다. 이 결과 원주시 사례는 시민이 주도하여 지역의 이미지를 바꾸고 지역브랜드를 성공적으로 개발했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행위자들과 협력하였고 지역 특화 아이템을 개발하기 위해 체계적인 심층 면담 조사를 시행하는 등 전반적으로 리빙랩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향후 공식적인 리빙랩 플랫폼의 설립, 과학적 조사와 데이터의 생성, 안정적 수익 창출을 위한 로컬 거버넌스의 제도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process of local brand creation and local innovation with the specific case of Hanji,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in Wonju, South Korea. Specifically, it analyzes a case in which citizens attempt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society by exploring local cultural heritage and developing it into a locally branded item through the lens of a living lab. A living lab is a social innovation in which local residents attempt to tackle their own problems with the cooperation of local government, academia, business, and other specialists. From the perspective of a living lab, the case of Wonju is a typical example of a citizen-driven local innovation project. Wonju City has had a long history of making Hanji but was in a crisis of losing its heritage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Hanji products. In the 1990s, Wonju citizens, led by civic groups, tried to revitalize Hanji heritage by holding Hanji cultural festivals and developing a traditional Hanji industr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Hanji cultural industry, Wonju’s old image as a military city was changed into a cultural city and Hanji cultural industry produced economic value. Finally, Hanji became the symbol of Wonju city.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ase with the four key components of a living lab, such as user-driven innovation, co-creation, citizen science, and value creation, as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evaluation. This article finds that overall the case has been successful and could be evaluated positively in all four (and eight sub-indicators under the four big categories) indicators. However, it also finds that for Hanji brand in Wonju to develop further, an open living lab platform and cooperative network should be institutionalized by which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and experiments could be possible.
목차
Ⅰ. 서론
Ⅱ. 분석틀로서 리빙랩
Ⅲ. 지역브랜드 창출 사례로서의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Ⅳ. 리빙랩 활동으로서 원주시 사례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언어의 접촉과 어휘 변화의 역동성
- 중국의 전통문화 재해석과 현대적 활용 - 閩南의 관우 문화를 중심으로
- 말뭉치에 나타난 독일어의 한국어 표기 오류 양상
-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과 의미 - 장정일 시를 중심으로
- 19세기 영국의 『삼국지연의』 번역: 조지 가디너 알렉산더를 중심으로
- 김수영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
- 이희경과 안공근의 상해임정 모스크바 특사활동 연구
- 시진핑 시대, ‘중화 우수 전통문화’의 함의와 발전 방향
- 에도시대(江戸時代)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1) - 무가(武家)의 재정 상황을 중심으로
- 중국과 프랑스의 교류에 관한 연구 - 시기별 교류를 중심으로
- ‘인문(人文) 정치’에 대한 시론 - 『논어』에 나타난 ‘인의 정치[仁政]’와 악셀 호네트(A. Honneth)의 ‘인정투쟁’을 연계하여
- U.S. Foreign Strategy and Multilateral Structures on China from Diversification to Discouragement: Multilateral Diplomacy Perspective
- 현직 국회의원의 SNS(Facebook) 활용이 재당선에 미치는 영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리빙랩의 관점에서 본 시민 주도 지역브랜드 창출: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사례
-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민첩성과 경력준비행동의 관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요인 탐색 : 놀이지원 역량, 긍정적 놀이신념,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운영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개인 및 직무 변인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과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