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692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p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clinical nurse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정유진(Yu Jin Jeong) 문미경(Mi Kyung Moon)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30호, 117~12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공유리더십, 근거기반실무역량의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환자안전간호활동 증진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D시 일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158명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H test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안전간호활동과 공유리더십은 각각 5점 만점에 4.77±0.33점, 3.98±0.45점이었으며, 근거기반실무역량은 7점 만점에 4.58±0.60점이었다. 최종 회귀분석결과 공유리더십(β=.28, p=.001)이 높을수록, 소속부서의 구성 인원수 중 40명 미만(β=.17, p=.018)인 경우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변수들의 환자안전활동의 설명력은 17.2%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높은 공유리더십과 40명 이하의 소속부서의 구성인원 수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적절한 인력의 배치와 임상간호사의 공유리더십을 활성화하기 위한 간호관리전략방안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hared leadership, and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of clinical nurses, and to explain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Methods: In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8 clinical nurse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in D city,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H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28.0 program.
Results: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nd shared leadership scored 4.77±0.33 and 3.98±0.45 out of 5 points, respectively, while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e scored 4.58±0.60 out of 7 points.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clinical nurses were shared leadership(β=.28, p=.001) and the number of staff at the current department(β=.28, p=.001). The final model explained 17.2% of variance of clinical nurses’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e advanced management strategies for shared leadership and nursing staffing need to enhanc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education programs improve shared leadership among clinical nur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빛공해로 인한 자연생태계 교란방지를 위한 LED 조명디자인의 조향해석 및 시뮬레이션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대비한 자동차보험제도 연구
- 재난안전관리체계 평가모형을 활용한 다중이용시설 안전관리 사례 연구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감리시스템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근골격계질환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조업체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분석
- 농촌지역 기초자치단체의 자살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 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 신체존중감, 자기자애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환자안전사고 분석
- 잠정조치 이행 여부에 따른 스토킹가해자의 특성에 대한 판결문 분석
- 준강간에서 피해자가 음주 후 수면 중 심신상실 또는 항거불능의 탐색
- 건설업 일용직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정부조직에서 조직문화가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순환보직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직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상대적 박탈감, 이직의도, 그리고 분배공정성의 매개효과: MZ세대와 기성세대 공무원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