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의 관계
이용수 195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knowledg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in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안은경(Eun Kyong Ahn)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30호, 1~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문화대상자에 대한 간호서비스 제공을 위해 예비간호사인 간호대학생들은 문화적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문화적 역량의 필수요소인 다문화 지식의 습득이 필요하며 다문화대상자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수용적인 태도와 다문화 간호수행에 대한 자신감인 다문화 효능감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의 정도와 이들 변수간의 관계탐색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의 간호대학생 183명이며, 2023년 11월 1일~12월 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Pearson 상관관계,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지식(3.05±0.76), 다문화 수용성(3.88±0.49), 다문화 효능감(58.50±18.66)은 중간정도의 수준이었다. 다문화 지식은 다문화 수용성(r=.33, p<.001), 다문화 효능감과 유의한 상관관계(r=.61, p<.001)가 있었고, 다문화 수용성은 다문화 효능감과 유의한 상관관계(r=.45, p<.001)가 있었다. 외국인과의 교류경험, 다문화 지식 및 다문화 수용성은 다문화 효능감의 45%을 설명하였으며, 다문화 지식이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β=.47, p<.001). 다문화 효능감은 다문화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 증진을 위해서는 다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경험의 제공이 필요하다. 그러나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및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향후 이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provide nursing services to multicultural clients, nursing students who are prospective nurses must have cultural competenc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acquire multicultural knowledge, an accepting attitude to understand and respect multicultural patients and multicultural efficacy.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degree of multicultural knowledg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on 183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from November 1 to December 8, 2023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22.0 program. As a result, Nursing students' multicultural knowledge(3.05±0.76), multicultural acceptance(3.88±0.49), and multicultural efficacy(58.50±18.66) were at a medium level. Multicultural knowledge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acceptance(r=.33, p<.001) and multicultural efficacy(r=.61, p<.001),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efficacy(r=.45, p<.001). Experience of interacting with foreigners,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explained 45% of multicultural efficacy, with multicultural knowledge appearing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β=.47, p<.001). Multicultural efficacy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cultural competency of nurses caring for multicultural patient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to acquire specific knowledge about multiculturalism. However, since research on nursing students'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efficacy is insufficient, future research on this is requir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빛공해로 인한 자연생태계 교란방지를 위한 LED 조명디자인의 조향해석 및 시뮬레이션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대비한 자동차보험제도 연구
- 재난안전관리체계 평가모형을 활용한 다중이용시설 안전관리 사례 연구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감리시스템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근골격계질환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조업체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분석
- 농촌지역 기초자치단체의 자살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 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 신체존중감, 자기자애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환자안전사고 분석
- 잠정조치 이행 여부에 따른 스토킹가해자의 특성에 대한 판결문 분석
- 준강간에서 피해자가 음주 후 수면 중 심신상실 또는 항거불능의 탐색
- 건설업 일용직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정부조직에서 조직문화가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순환보직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직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상대적 박탈감, 이직의도, 그리고 분배공정성의 매개효과: MZ세대와 기성세대 공무원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