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부조직에서 조직문화가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overnment Organizations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박현신(Hyunsh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3권 제4호, 1~3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역할을 다층모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상사의 리더십 스타일을 거래적리더십과 변혁적리더십으로 구분하고, 조직문화를 경쟁가치모형에 따라 관계문화, 혁신문화, 시장문화, 위계문화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거래적리더십과 변혁적리더십 모두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계문화와 혁신문화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시장문화가 강할수록 거래적리더십의 긍정적 효과가 강화된 반면, 위계문화가 강할수록 거래적리더십의 효과는 약화되었다. 넷째, 변혁적리더십과 조직문화 간 상호작용 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조직 내에서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조직문화와 리더십 스타일의 조화가 조직몰입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a multilevel model. Specifically, leadership styles were categorized into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was divided into four types—clan, adhocracy, market, and hierarchy—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Second, clan and adhocracy cultur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positive effect of transac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trengthened in organizations with a strong market culture but weakened in those with a strong hierarchical culture. Fourth,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act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text within government organization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lignment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tyl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및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부조직에서 조직문화가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순환보직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직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상대적 박탈감, 이직의도, 그리고 분배공정성의 매개효과: MZ세대와 기성세대 공무원 비교
- 공무원의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 조직공정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온라인 리뷰 텍스트 분석을 통한 공무원들의 공직에 대한 장단점 인식: 토픽 모델링에 의한 탐색적 연구
- 경찰 수사부서 기피 현상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해양경찰청 수사경찰의 보직이동의사에 대한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 사회적 “임금” 비교가 공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입직급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공무원의 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육군 간부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직무순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교육의 조절효과: P대학 행정직원을 중심으로
- 공무원의 변혁적 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 혁신적 업무행동 간 구조적 관계: 직무 스트레스의 조건부 효과를 중심으로
- 악성민원이 보건소 공무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공무원 직무 성과의 결정 요인: 직무특성 동기와 고몰입 인적자원관리를 중심으로
- 중앙부처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을 중심으로
- 공무원의 공직가치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인구사회학적 영향 요인 분석: 공직가치와 적극행정의 관계를 중심으로
- 담당급 공모 직위 속진임용제의 발전방안 연구
- 육아기 재택근무의 도입과 전망
- 매력있는 공직사회 구현: 멘토-멘토링의 동기부여 기제
- 공직 내 인사혁신의 성과와 정합성에 관한 연구
- 한국 정부에서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실적주의의 의미 재해석: 공직사회의 지속가능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접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정부조직에서 조직문화가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순환보직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직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상대적 박탈감, 이직의도, 그리고 분배공정성의 매개효과: MZ세대와 기성세대 공무원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