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무원의 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Government Officials' Motivation on Innovative Behavior: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Determination Factors
발행기관
한국인사행정학회
저자명
박이레(IeRei Park) Khaltar Odkhuu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3권 제4호, 233~26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공무원의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외재적 동기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미흡했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이직률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재적 동기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공공봉사동기가 공공부문만의 동기 이론이 아닌 시점에서 새로운 접근을 제안한다. 분석 방법으로 회귀분석과 조절된 매개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승진 공정성과 공공봉사동기는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봉사동기는 외재적 동기보다 더 강한 영향을 미쳤다. 자기결정성 요인의 자율성 경험, 역량성 경험, 관계성 경험은 승진 공정성과 공공봉사동기를 조절하였다. 특히, 승진 공정성과 보수 만족도는 공공봉사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결정성 요인이 이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이는 외재적 보상이 내재적 동기를 약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조절된 매개분석 결과, 공공봉사동기는 승진 공정성과 혁신행동을 부분매개하고, 자율성 경험, 역량성 경험, 관계성 경험이 긍정적으로 조절하였다. 보수 만족도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는 공공봉사동기가 완전 매개하였고, 역량성 경험이 이를 긍정적으로 조절하였다. 이는 역량 강화가 공공봉사동기를 높여 혁신행동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공무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하는 데 있어 동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공무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자율성, 역량성, 관계성 경험을 강화하는 조직 설계와 적극행정 지원 제도 및 조직문화 개선을 통해 공공봉사동기를 내재화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s of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on public official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e len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on extrinsic motiv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intrinsic motivation in the public sector. Addressing this gap,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amining extrinsic motivation to mitigate growing turnover rates among public officials and introduces a new approach, recognizing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not exclusive to the public sector. Using regression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the study found that promotion satisfac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both positively influenced innovative behavior, with Public Service Motivation exerting a stronger effect. The componen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motion satisfac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While promotion and salary satisfaction negatively affected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se negative effects were positively moderated by the componen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suggesting that extrinsic rewards can undermine intrinsic motivation unless properly managed. The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motion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with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ositively moderating this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lary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Public Service Motiv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with competence positively moderating the effec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trengthening competence can enh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subsequently stimulate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underscores the critical role of motivation in fostering innovative behavior among public officials. It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fostering innovative behavior by proposing organizational designs that enhance experience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longside proactive administration support systems and organizational culture improvements to internalize Public Service Motiv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이레(IeRei Park),Khaltar Odkhuu. (2024).공무원의 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3 (4), 233-264

MLA

박이레(IeRei Park),Khaltar Odkhuu. "공무원의 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3.4(2024): 233-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