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골격계질환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조업체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분석
이용수 79
- 영문명
- Analyzing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mong manufacturing workers using musculoskeletal disease analysis software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박현정(Hyun Jung Park)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30호, 29~4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근골격계 부담작업을 하고 있는 제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신체정렬상태 측정 및 근골격계 자각증상 부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 정렬상태의 차이를 파악하여 근골격계질환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G시에 소재한 1개 부품 제조업체 근로자 162명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 1일부터 2023년 1월 26일까지 진행하였다. 조사도구는 신체정렬상태는 자세측정 및 분석용 장비(Exbody9100, Korea)로 측정하고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Indepedent t-test,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근골격계 증상호소율은 98.8%이었고, 신체정렬상태를 나타내는 종합근골격지수는 29.00±10.456점으로 신체부정렬상태를 예측할 수 있었다. 통증정도(F=2.889, p<.024), 한번 통증 발생 시 통증 지속시간(F=3.245, p<.005), 통증 발생횟수(F=3.093, p<.007), 움직임에 따른 통증양상(F=2.542, p<.022)이 신체정렬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론: 본 연구는 신체불균형이 근골격계 통증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고 근로자의 신체정렬상태 분석을 통해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위험성을 예측하였다. 따라서 근골격계질환 예방대책을 세울 때 신체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예방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program by measuring the body alignment status of manufacturing workers performing musculoskeletal-related work and identifying differences in body alignment status according to the area of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 2022 to January 26, 2023 among 162 workers at a parts manufacturer located in G City. As for the survey tool, body alignment was measured using posture measurement and analysis equipment (Exbody9100, Ko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7.0,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ANOVA.
Results: The complaint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98.8%, and the comprehensive musculoskeletal index indicating body alignment was 29.00±10.456, which could predict body misalignment. Pain severity (F=2.889, p<.024), duration of pain once pain occurs (F=3.245, p<.005), number of pain occurrences (F=3.093, p<.007), pain pattern depending on movement(F=2.542, p<.02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body alignment statu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imbalance and musculoskeletal pain and predicted the risk of developing musculoskeletal diseases through analysis of workers' body alignment status. Therefore, when establishing preventive measures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preventive measures that can maintain body balance should be establish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빛공해로 인한 자연생태계 교란방지를 위한 LED 조명디자인의 조향해석 및 시뮬레이션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대비한 자동차보험제도 연구
- 재난안전관리체계 평가모형을 활용한 다중이용시설 안전관리 사례 연구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감리시스템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근골격계질환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조업체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분석
- 농촌지역 기초자치단체의 자살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 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 신체존중감, 자기자애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환자안전사고 분석
- 잠정조치 이행 여부에 따른 스토킹가해자의 특성에 대한 판결문 분석
- 준강간에서 피해자가 음주 후 수면 중 심신상실 또는 항거불능의 탐색
- 건설업 일용직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정부조직에서 조직문화가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순환보직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직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상대적 박탈감, 이직의도, 그리고 분배공정성의 매개효과: MZ세대와 기성세대 공무원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