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골격계질환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조업체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분석

이용수 23

영문명
Analyzing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mong manufacturing workers using musculoskeletal disease analysis software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박현정(Hyun Jung Park)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0호, 29~4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근골격계 부담작업을 하고 있는 제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신체정렬상태 측정 및 근골격계 자각증상 부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 정렬상태의 차이를 파악하여 근골격계질환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G시에 소재한 1개 부품 제조업체 근로자 162명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 1일부터 2023년 1월 26일까지 진행하였다. 조사도구는 신체정렬상태는 자세측정 및 분석용 장비(Exbody9100, Korea)로 측정하고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Indepedent t-test,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근골격계 증상호소율은 98.8%이었고, 신체정렬상태를 나타내는 종합근골격지수는 29.00±10.456점으로 신체부정렬상태를 예측할 수 있었다. 통증정도(F=2.889, p<.024), 한번 통증 발생 시 통증 지속시간(F=3.245, p<.005), 통증 발생횟수(F=3.093, p<.007), 움직임에 따른 통증양상(F=2.542, p<.022)이 신체정렬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론: 본 연구는 신체불균형이 근골격계 통증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고 근로자의 신체정렬상태 분석을 통해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위험성을 예측하였다. 따라서 근골격계질환 예방대책을 세울 때 신체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예방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program by measuring the body alignment status of manufacturing workers performing musculoskeletal-related work and identifying differences in body alignment status according to the area of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 2022 to January 26, 2023 among 162 workers at a parts manufacturer located in G City. As for the survey tool, body alignment was measured using posture measurement and analysis equipment (Exbody9100, Ko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7.0,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ANOVA. Results: The complaint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98.8%, and the comprehensive musculoskeletal index indicating body alignment was 29.00±10.456, which could predict body misalignment. Pain severity (F=2.889, p<.024), duration of pain once pain occurs (F=3.245, p<.005), number of pain occurrences (F=3.093, p<.007), pain pattern depending on movement(F=2.542, p<.02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body alignment statu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imbalance and musculoskeletal pain and predicted the risk of developing musculoskeletal diseases through analysis of workers' body alignment status. Therefore, when establishing preventive measures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preventive measures that can maintain body balance should be establish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정(Hyun Jung Park). (2024).근골격계질환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조업체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분석. 안전문화연구, (), 29-44

MLA

박현정(Hyun Jung Park). "근골격계질환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조업체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분석." 안전문화연구, (2024): 29-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