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양병원 환자안전사고 분석
이용수 233
- 영문명
- Analysi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Utilization of recent 5-year Korea patient safety statistic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구혜자(Hye Ja Gu) 홍은영(Eun Young Hong)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30호, 105~11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발표한 환자안전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요양병원에서 발생한 환자안전사고의 빈도, 위해수준 및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위해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개선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8~2022년까지 요양병원에서 발생한 환자안전사고 중에서 10,117건을 대상으로 병원관련 특성 및 환자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사고의 위해정도의 차이는 χ2를 통한 교차분석을 하였고, 환자안전사고의 위해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해발생위험은 500병상 이상에 비해 200병상 미만은 약 1.2배, 200~500병상 미만인 경우는 약 1.4배 높았고 투약오류에 비해 상해인 경우 약 74.8배, 자살 · 자해는 약 24.9배, 식사는 약 10.7배, 낙상은 약 7.6배 높았다. 200병상 미만의 요양병원은 법적인 사각지대에 놓여있고, 환자안전사고의 위해발생위험도가 높기때문에 환자안전관리법제화가 필요하며 상해는 투약오류에 비해 위해발생위험이 매우 높기때문에 요양병원의 상해발생원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예방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requency, severity, and associated factor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Korea, utilizing patient safety statistics. The objective w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 improvement strategies aimed at reducing the risk of harm occurrence in the future. From 2018 to 2022, a total of 10,117 patient safety incidents occurr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were analyzed. Cross-tabulation using chi-square tests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severity of patient safety incidents based on hospital-related characteristics and patient-related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occurrence of harm in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risk of harm occurrence was approximately 1.2 times higher in hospitals with fewer than 200 beds and about 1.4 times higher in hospitals with 200-500 beds compared to those with over 500 beds. Furthermore, compared to medication errors, the risk of harm occurrence was approximately 74.8 times higher for injuries, 24.9 times higher for suicide·self-harm incidents, 10.7 times higher for meal-related incidents, and 7.6 times higher for falls. Given that long-term care hospitals with fewer than 200 beds are in a legal gray area and have a higher risk of harm occurrence in patient safety incidents, legislation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is necessary. Additionally, since injuries pose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harm occurrence compared to medication errors, it is imperative to accurately identify the causes of injuri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devise prevention measur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빛공해로 인한 자연생태계 교란방지를 위한 LED 조명디자인의 조향해석 및 시뮬레이션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대비한 자동차보험제도 연구
- 재난안전관리체계 평가모형을 활용한 다중이용시설 안전관리 사례 연구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감리시스템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근골격계질환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조업체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분석
- 농촌지역 기초자치단체의 자살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 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 신체존중감, 자기자애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환자안전사고 분석
- 잠정조치 이행 여부에 따른 스토킹가해자의 특성에 대한 판결문 분석
- 준강간에서 피해자가 음주 후 수면 중 심신상실 또는 항거불능의 탐색
- 건설업 일용직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정부조직에서 조직문화가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순환보직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직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상대적 박탈감, 이직의도, 그리고 분배공정성의 매개효과: MZ세대와 기성세대 공무원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