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전통문화 재해석과 현대적 활용 - 閩南의 관우 문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42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interpretation and Use of Traditional Culture in China - Focusing on the Culture of Worship of Guan Yu in the Minnan Region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민경(Minkyoung Yi)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대 민남은 관우 신앙을 통하여, 정신적 위안을 얻었고 구성원의 단결과 공동체의 결속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수백 년을 훨씬 상회하는 오랜 세월 동안 면면히 이어져 온 관우 숭배 문화는 현재까지도 민남에서 유효하다.
그런데 개혁개방 이후 관우 신앙은 단순한 민간신앙이나 종교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선양하고 보전해야 할 전통문화의 범주로 포함되었다. 이는 관우 숭배 문화가 정치, 경제등 다양한 방면에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민남은 대만인을 비롯하여 화교·화인의 원적지여서, 그들과 문화적 동질성이 크다. 그리고 관우는 일평생 漢室復興 혹은 유비의 천하통일을 위해 분투하였다. 또 민남의 상당수 관제묘는 바다 건너에 자리하고 있는 수많은 관제묘의 祖廟이다. 이러한 요소로 보건대 민남 관우 숭배 문화는 경제·정치 외교적 측면에서 활용도가 상당하다. 이를 포착한 중국 정부는 개혁개방 이후 과거와 다른 인식으로 민남 관우 숭배를 바라보게 되었다. 전통문화로 범주화하여 종교·신앙적 색채를 약화한 뒤, 경제와 정치에 유익한 수단으로 재해석하였다. 정치·경제·문화·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중국 사회에서 민남의 관우 문화는 이전과 달리 인식되었고 또 과거와 구분되는 함의를 가지게 되었다.
민남 관우 문화를 현대적으로 활용한 실례인 海峽兩岸(福建東山)關帝文化旅遊節은 개혁개방 이후 관우 문화에 대한 재해석에 기반하여 진행되고 있다. 문화제는 종교 행사 외에도 음악과 미술 분야의 문화 행사, 무역 박람회나 투자설명회와 같은 경제 활동, 양안 단체의 교류 활동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근래에 와서는 문화제의 주제를 통하여 양안 통일을 노골적으로 강조하는 추세를 보인다.
영문 초록
The worship of Guan Yu originally originated from the Central Plains region, but it spread to the Minnan regions through immigrants from Central Plains region. Initially, Guan Yu was revered in a similar manner to Central Plains region, being regarded as a god of war, wealth, and protection against evil spirits. However, over time, distinct characteristics emerged that differentiated it from other regions. Influenced by the local context of the Minnan region, the worship of Guan Yu developed its own unique features. Due to the significant reliance on the sea for livelihoods and the large population of overseas migrants, the worship of the sea god was added, and due to historical events involving migration, Guan Yu became a ancestral god in this place. Additionally,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engaged in maritime trade, the divine protection of merchants and wealth took on particular importance here.
In ancient times, the people of the Minnan region found spiritual solace and sought to maintain unity and cohesion within their communities through the worship of Guan Yu. The culture of worshiping Guan Yu, which has been sustained for centuries, remains prevalent in the Minnan region to this day.
However, since the era of reform and opening up, the worship of Guan Yu has not merely remained a folk belief or religion but has been encompassed within the category of traditional culture to be promoted and preserved. This is because the culture of Guan Yu worship proves useful for addressing various issues faced by government authorities, including politics and the economy.
The Minnan region, including Taiwan, has a high degree of cultural similarity with the Han Chinese and overseas Chinese. Moreover, Guan Yu devoted his life to the restoration of the Han dynasty or the unification of the empire under Yu Bei. Additionally, many ancestral shrines in the Minnan region are the ancestral temples of numerous shrines located across the sea. With these elements, the Guan Yu worship culture in the Minnan region proves to be significant in economic, political, and diplomatic aspects. Recognizing this, the Chinese government has adopted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worship of Guan Yu in the Minnan region since the era of reform and opening up. It has categorized it as traditional culture, attenuating its religious connotations, and reinterpreting it as a beneficial means for economic and political ends. As China undergoes changes in its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the Guan Yu culture in the Minnan region is perceived differently and holds implications that distinguish it from the past.
An example of modern utilization of Minnan Guan Yu culture is the Cross-Strait (Fujian Dongshan) Guan Di Cultural Tourism Festival, which has been conducted based on a reinterpretation of Guan Yu culture since the era of reform and opening up. The cultural festival is composed of programs ranging from religious ceremonies to cultural events in music and art, economic activities such as trade fairs and investment forums, and exchange activities between organizations from both side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rend towards overtly emphasizing cross-strait unification through the themes of the cultural festival.
목차
Ⅰ. 서론
Ⅱ. 과거 민남의 관우 숭배 문화
Ⅲ. 현대 민남의 관우 문화 재해석
Ⅳ. 민남 관우 문화의 현대적 활용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언어의 접촉과 어휘 변화의 역동성
- 중국의 전통문화 재해석과 현대적 활용 - 閩南의 관우 문화를 중심으로
- 말뭉치에 나타난 독일어의 한국어 표기 오류 양상
-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과 의미 - 장정일 시를 중심으로
- 19세기 영국의 『삼국지연의』 번역: 조지 가디너 알렉산더를 중심으로
- 김수영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
- 이희경과 안공근의 상해임정 모스크바 특사활동 연구
- 시진핑 시대, ‘중화 우수 전통문화’의 함의와 발전 방향
- 에도시대(江戸時代)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1) - 무가(武家)의 재정 상황을 중심으로
- 중국과 프랑스의 교류에 관한 연구 - 시기별 교류를 중심으로
- ‘인문(人文) 정치’에 대한 시론 - 『논어』에 나타난 ‘인의 정치[仁政]’와 악셀 호네트(A. Honneth)의 ‘인정투쟁’을 연계하여
- U.S. Foreign Strategy and Multilateral Structures on China from Diversification to Discouragement: Multilateral Diplomacy Perspective
- 현직 국회의원의 SNS(Facebook) 활용이 재당선에 미치는 영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리빙랩의 관점에서 본 시민 주도 지역브랜드 창출: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사례
-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민첩성과 경력준비행동의 관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요인 탐색 : 놀이지원 역량, 긍정적 놀이신념,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운영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개인 및 직무 변인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과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