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S. Foreign Strategy and Multilateral Structures on China from Diversification to Discouragement: Multilateral Diplomacy Perspective
이용수 46
- 영문명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재승(Jaeseung Lee)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2호, 321~35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는 미국의 대외정책, 구체적으로 미중 관계를 진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접근으로 중국에 대한 관여를 조사한다. 기존에 바이든의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내세운 의제는 분야별로 경쟁하고 협력하며 맞서자는 것이었으나, 근래 분위기가 바뀌었다. 각각의 사례를 다르게 보려 했지만, 구분이 상당히 모호했다. 바이든은 트럼프와 달리 기존의 미국 동맹국과 파트너들을 최대한 활용해 중국을 견제하고자 했고, 동맹을 규합하는 데 집중했다. 본고에서 미국의 다자 외교에서 대중 접근 방식의 변화를 밝히고 그 변화의 원인과 이유를 알아보고자 한다. 미국은 4자 안보대화(Quad), 한미일 3자 협력, 미국-영국-호주 (AUKUS) 협정 등 다각화되고 다양한 외교 채널을 통해 중국을 견제했지만, 인도와 호주를 비롯한 다른 나라들의 협력이 미국의 의도와 같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미국은 일본, 한국과의 3자 협력에 의존해 중국을 견제하고 있다. 그러다 전쟁이 발생하면서 미국이 구축한 규정에 기반한 국제질서가 어느 정도 흔들리게 됐다. 미국의 많은 동맹국이 워싱턴과 베이징 사이에서 유연한 외교적 접근을 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전쟁이 발생했기 때문에 미국이 확립한 규정에 기반한 국제질서가 어느 정도 흔들렸다고 볼 수 있다. 많은 미 동맹이 미중 사이에서 외교적으로 유연하게 접근하고 있다. 결국, 현재 미국은 다자 외교에서 중국에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나, 양자 관계에서는 유화적인 면모를 보이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미국은 중국과의 관계를 다양화하면서도 위협을 줄이되, 탈동조하지 않기로 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U.S.’ foreign policy pursed by the Biden administration, specifically U.S.-China relations. This paper scrutinizes Biden’s engagement to China with diversified accesses from the onset of his term to the present. Previously, Biden’s U.S. made agenda against China was to compete, cooperate, and confront sector-by-sector, however, the recent atmosphere has changed. Despite the change to the Biden administration, the United States continued its strong policy toward China. Unlike Trump, Biden wanted to make the most of existing U.S. allies and its partners to keep China in check, and focused on rallying the alliance. This paper reveals the changes in the United States approach to China and investigates the cause and reason for such a shift. The U.S. contained China through diversified diplomatic channels, such as the Quadrilateral Security Dialogue (Quad), U.S.-led trilateral cooperation, and Australia-United Kingdom-United States (AUKUS) deal, but due to the somewhat limited cooperation by other countries, the U.S. is trying to check China through trilateral cooperation with Japan and South Korea added. And then, a couple of wars have emerged, so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established by the U.S. has been shaken to some extent, most of all, many U.S. allies are taking a flexible diplomatic approach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It can be evaluated the U.S.’ diplomatic approach to containing China has become somewhat weaker than originally conceived. On the contrary, the U.S. trade volume to China has been surged in recent years, Washington is taking a conciliatory approach to Beijing in bilateral relation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Debate on the International Order
Ⅲ. Biden’s Foreign Policy toward China
Ⅳ. Faltering U.S. Foreign Strategies
Ⅴ. Conclusis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언어의 접촉과 어휘 변화의 역동성
- 중국의 전통문화 재해석과 현대적 활용 - 閩南의 관우 문화를 중심으로
- 말뭉치에 나타난 독일어의 한국어 표기 오류 양상
-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과 의미 - 장정일 시를 중심으로
- 19세기 영국의 『삼국지연의』 번역: 조지 가디너 알렉산더를 중심으로
- 김수영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
- 이희경과 안공근의 상해임정 모스크바 특사활동 연구
- 시진핑 시대, ‘중화 우수 전통문화’의 함의와 발전 방향
- 에도시대(江戸時代)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1) - 무가(武家)의 재정 상황을 중심으로
- 중국과 프랑스의 교류에 관한 연구 - 시기별 교류를 중심으로
- ‘인문(人文) 정치’에 대한 시론 - 『논어』에 나타난 ‘인의 정치[仁政]’와 악셀 호네트(A. Honneth)의 ‘인정투쟁’을 연계하여
- U.S. Foreign Strategy and Multilateral Structures on China from Diversification to Discouragement: Multilateral Diplomacy Perspective
- 현직 국회의원의 SNS(Facebook) 활용이 재당선에 미치는 영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리빙랩의 관점에서 본 시민 주도 지역브랜드 창출: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사례
-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민첩성과 경력준비행동의 관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요인 탐색 : 놀이지원 역량, 긍정적 놀이신념,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운영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개인 및 직무 변인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과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