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과 의미 - 장정일 시를 중심으로
이용수 43
- 영문명
- Aspects and Meanings of Image Working Space in Poetry : Based on Jang Jeong-il's Poem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정진경(Jinkyung Jeong)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2호, 99~12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과 의미를 장정일 시를 통해서 살펴본 것이다. 이미지의 본성을 움직임이자 시간으로 보는 질 들뢰즈의 이론은 시인에게 지각된 세계의 이미지들이 운동성에 의해 어떻게 전이 변용되면서 시적 현실이나 정신기호로 이미지화되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유효한 연구방법론이다. 이미지의 운동성을 신체와 정신을 재인하는 주체로 보고 있는 이 관점의 연구는 시에서의 또 다른 이미지 기능을 볼 수 있다.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은 한 시인을 대상으로 할 때 더 깊이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현대사회의 경험적 문제들을 다양한 시적 방법론으로 이미지화하는 장정일 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장정일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시에서 자본주의 이미지들이 본성적인 감각 기억과 조우하면서 신체성을 재인하는 이미지 운동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자본주의 광고 이미지가 우리의 신체성을 변화시키는 주범임을 지각한 장정일의 의식이 이미지화된 것이다. 둘째는 시에서 청소년기 기억들이 ‘회전’되면서 권력의 폭력성을 공유하는 이미지 운동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시라는 매개체를 통해 장정일의 개인 기억이 권력의 폭력성을 다수가 지각하는 공동체적 기억으로 나아가기를 바라는 의식이 이미지화된 것이다. 셋째는 시에서 거짓 논리의 정신기호들로, 세계의 진리를 실각하는 이미지 운동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정신기호로서 시의 이미지들이 갖는 속성과 사유의 가능성을 이용해서 사회 변화성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지가 이미지화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이미지가 감각의 조직 내에서 작동하든 아니든 간에 우리의 사유체계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운동성으로 인해 이미지가 전이되고 변형, 창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의 이데아’는 우리의 신체적 정신적 경험을 새롭게 재인하거나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미지 운동의 중요성을 말해준다. 특히 시인에 의해 현실화된 시적 이미지들이 개인의 차원을 넘어 시를 읽는 독자들의 의식이나 행동을 변화시키는 이미지 운동으로 확장되는 것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 이것은 시적 이미지가 단순한 문학적 현상으로서의 의식이나 언어를 넘어서서 신체와 정신의 경험을 재해석하고, 새로운 존재성과 실존성을 만드는 주체라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aspect and meaning of image working space in poems through Jang Jeong-il's poems.,Gilles Deleuze's theory, which sees the nature of images as movement and time, is a valid research methodology to examine how the images of the world perceived by the poet are transformed by mobility and imaged as poetic reality or mental symbols.,The study of this point of view, which sees the motility of image as the subject of recognition of body and mind, will see another image function in poetry.
The aspects of image working space in Jang Jeong-il's poems are as follows: First, capitalistic images in poems are shown as image movements that recognize physicality by encountering with natural sensory memories.Second, the memories of adolescence in the poem are turned around and appear as an image movement that shares the violence of power Third, it appears as an image movement that defeats the truth of the world with mental symbols of false logic in the poem.
These facts show that images, whether operating within the organization of the senses or not, are relevant to our thinking systems.,In particular, the idea of difference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ransforming, and creating images due to mobility tells us the importance of image movement in that it enables us to newly recognize our physical and mental experiences or enable new thinking.,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poetic images realized by the poet extend beyond the individual level to the image movement that changes the consciousness or behavior of readers who read poetry suggests many things.
Furthermore, this means that the poetic image is a subject that reinterprets the physical and mental experience beyond the consciousness or language as a simple literary phenomenon and creates a new existence and existence.,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fact that the reality and potentiality are not only meaningful because the image moves as a consciousness, but also expanded and changed into the possibility of new thinking.,Furtherm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the scope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the study of Korean poetry and Jang Jeong-il's poetry and expanded the interpretation of poetry world.
목차
Ⅰ. 서론
Ⅱ. 움직임이자 시간으로서 이미지 본성과 작동 공간
Ⅲ. 장정일 시의 이미지 작동 공간 양상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언어의 접촉과 어휘 변화의 역동성
- 중국의 전통문화 재해석과 현대적 활용 - 閩南의 관우 문화를 중심으로
- 말뭉치에 나타난 독일어의 한국어 표기 오류 양상
-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과 의미 - 장정일 시를 중심으로
- 19세기 영국의 『삼국지연의』 번역: 조지 가디너 알렉산더를 중심으로
- 김수영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
- 이희경과 안공근의 상해임정 모스크바 특사활동 연구
- 시진핑 시대, ‘중화 우수 전통문화’의 함의와 발전 방향
- 에도시대(江戸時代)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1) - 무가(武家)의 재정 상황을 중심으로
- 중국과 프랑스의 교류에 관한 연구 - 시기별 교류를 중심으로
- ‘인문(人文) 정치’에 대한 시론 - 『논어』에 나타난 ‘인의 정치[仁政]’와 악셀 호네트(A. Honneth)의 ‘인정투쟁’을 연계하여
- U.S. Foreign Strategy and Multilateral Structures on China from Diversification to Discouragement: Multilateral Diplomacy Perspective
- 현직 국회의원의 SNS(Facebook) 활용이 재당선에 미치는 영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리빙랩의 관점에서 본 시민 주도 지역브랜드 창출: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사례
-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민첩성과 경력준비행동의 관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요인 탐색 : 놀이지원 역량, 긍정적 놀이신념,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운영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개인 및 직무 변인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과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