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수영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
이용수 67
- 영문명
- Aesthetic distance shown in Kim Soo-young’s poetry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송현희(Hyeonhee Song)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2호, 131~15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김수영의 시를 해석하는 방법으로 김수영의 시를 화자 지향적 어조, 청자 지향적 어조, 화제 지향적 어조의 시로 유형화하여 발화 형식의 변화에 따라 시의 미적 거리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김수영은 전쟁과 4·19혁명을 겪으며 시대적 소명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했던 대표적인 시인 중 한 사람이다. 이런 시인의 세계에 시의 미적 거리와 연결되는 지점이 있다고 보았다. 시인은 최대한 자신의 감정을 절제하며 객관적인 시선으로 다른 대상이나 사건을 만들고 시 속에 투입시킨다. 개인의 감정에 빠져 직접적으로 표현된 시적 형식은 더는 독자들에게 아무런 감흥이나 변화를 줄 수 없기 때문이다.
시에서 미적거리는 시인이 자신에 대한 사적이고 실제적인 관심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나의 대상을 초연하게 관조하며, 대상을 향한 그의 태도나 기술을 반영한 것이다. 그리하여 시인이 시적 대상을 상상력의 범위 속으로 끌어들여 시를 쓰고자 할 때, 거리의 조정 문제는 텍스트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감상자가 객관성을 지닐 수 있도록 해주는 관조의 태도이자 미적 태도이며, 단순한 시간적 · 공간적 거리가 아니라 예술작품의 미적 가치를 제대로 읽어낼 수 있는 내면적 거리이다.
대상과의 거리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미적 성취도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부족한 거리조정(under distancing)과 지나친 거리조정(over distancing) 있다. 부족한 거리조정은 심리적 거리가 짧아 감정 조절과 양식화가 결여되어 있다. 과도한 정서적 억압이 특징인 지나친 거리조정은 지나치게 관념적인 시가 되어 미의식을 확보하기에 미비할 수 있다.
시 창작과정에서 미적거리는 시의 대상, 이미지, 화자, 어조 등 다양한 시적 요소와 밀접하게 얽혀있다. 따라서 시에서 미적 거리를 고찰하려면 어조의 방향, 시점에 따른 화자의 유형, 화자의 대상에 대한 감정적 상태 등에 주목해야 한다. 그 결과 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함께 시인의 개성적인 태도에서 드러나게 되는 미적 거리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영문 초록
As a method of interpreting Kim Soo-young's poetry,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ow the aesthetic distance of poetry appears according to the change in speech form by categorizing Kim Soo-young's poetry into a speaker-oriented tone, a listener- oriented tone, and a topic-oriented tone.
Kim Soo-you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oets who tried to meet the calling of the times through the war and the April 19 Revolution. I saw that there was a point in this poet's world that connected to the aesthetic distance of poetry. The poet modulates his emotions as much as possible, creates other objects or events with an objective gaze, and puts them in the poem. This is because the poetic form, which is directly expressed in the emotions of individuals, can no longer inspire or change readers.
In poetry, aesthetic distance signifies the poet's detached contemplation of an object, divorced from person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and embodies the poet's attitude or skill towards the object. therefore, when a poet endeavors to craft a poem, integrating the poetic subject into the realm of imagination, the adjustment of distance emerges as a pivotal factor in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text. This mindset embodies contemplation and an aesthetic approach that enables the viewer to maintain objectivity. It transcends mere temporal or spatial distance, constituting an internal detachment facilitating a proper appreciation of the artwork's aesthetic value.
Effectively controlling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very important for aesthetic achievement, and in extreme cases, there are ‘underdistancing’ and ‘overdistancing’. Insufficient distance coordination results in a short psychological distance, resulting in a lack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tylization. Excessive distance adjustment, characterized by excessive emotional suppression, can result in poetry that is overly ideological and insufficient to secure a sense of aesthetics.
Additionally, because the aesthetic distance induced in poetry is based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t cannot be as accurate as the physical and spatial distance. In the process of creating poetry, aesthetic distance is closely intertwined with various poetic elements such as the object, image, speaker, and tone of the poem. Therefore, the analysis of aesthetic distance in poetry must first consider understanding where the direction of tone is in the poem, what type of speaker is related to the point of view, and thus the mental state that the speaker expresses toward the object. As a result, one can understand the aesthetic distance revealed in the poet's individual attitude along with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oem.
목차
Ⅰ. 머리말
Ⅱ. 화자 지향적 어조를 통한 내면의 집중
Ⅲ. 청자 지향적 어조를 통한 타인을 향한 메시지
Ⅳ. 화제 지향적 어조를 통한 대상의 관조와 이야기 제시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언어의 접촉과 어휘 변화의 역동성
- 중국의 전통문화 재해석과 현대적 활용 - 閩南의 관우 문화를 중심으로
- 말뭉치에 나타난 독일어의 한국어 표기 오류 양상
-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과 의미 - 장정일 시를 중심으로
- 19세기 영국의 『삼국지연의』 번역: 조지 가디너 알렉산더를 중심으로
- 김수영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
- 이희경과 안공근의 상해임정 모스크바 특사활동 연구
- 시진핑 시대, ‘중화 우수 전통문화’의 함의와 발전 방향
- 에도시대(江戸時代)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1) - 무가(武家)의 재정 상황을 중심으로
- 중국과 프랑스의 교류에 관한 연구 - 시기별 교류를 중심으로
- ‘인문(人文) 정치’에 대한 시론 - 『논어』에 나타난 ‘인의 정치[仁政]’와 악셀 호네트(A. Honneth)의 ‘인정투쟁’을 연계하여
- U.S. Foreign Strategy and Multilateral Structures on China from Diversification to Discouragement: Multilateral Diplomacy Perspective
- 현직 국회의원의 SNS(Facebook) 활용이 재당선에 미치는 영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리빙랩의 관점에서 본 시민 주도 지역브랜드 창출: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사례
-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민첩성과 경력준비행동의 관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요인 탐색 : 놀이지원 역량, 긍정적 놀이신념,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운영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개인 및 직무 변인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과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