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민첩성과 경력준비행동의 관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56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learning ag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cused on the Daegu-Gyeongbuk region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정홍인(Hongin Jeong)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2호, 397~42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변인 간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대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경력준비행동, 학습민첩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분석은 SPSS 26.0과 AMOS 21.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학습민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대학생활적응은 경력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학습민첩성은 경력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민첩성은 대학생활적응과 경력준비행동 사이를 완전 매개함으로써 경력준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민첩성이 대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적응과 경력준비행동을 연결짓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대학생의 경력준비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학습민첩성 수준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습민첩성을 높이기 위해서 교수자는 참여형 학습환경을 조성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하고 학습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대학차원에서 재학생의 경력준비행동이 실제로 발현될 수 있도록 진로설계와 관련된 교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선정하여 자신의 진로를 성찰하고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대학생활적응이 경력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학습민첩성이 매개할 경우에만 경력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두 변인 간의 관계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using the student adaptation to university questionnai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learning agility scales. 163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1.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t is expected to b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tools and it was targeted at Daegu and Gyeongsangbuk-do. Seco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agility. Third, learning ag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learning agility completely mediated betwee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is, even if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s high, it may not tak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college students with high learning agility can reinfor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is suggests that learning agility plays a key role in linking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other words, to enha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level of learning agility. Therefore, to increase learning agility, educators should create a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freely express their opinions and share their learning experiences. Furthermore, at the institutional level, university should makes career planning courses mandatory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reflect on and prepare for their career path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esen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언어의 접촉과 어휘 변화의 역동성
- 중국의 전통문화 재해석과 현대적 활용 - 閩南의 관우 문화를 중심으로
- 말뭉치에 나타난 독일어의 한국어 표기 오류 양상
-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과 의미 - 장정일 시를 중심으로
- 19세기 영국의 『삼국지연의』 번역: 조지 가디너 알렉산더를 중심으로
- 김수영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
- 이희경과 안공근의 상해임정 모스크바 특사활동 연구
- 시진핑 시대, ‘중화 우수 전통문화’의 함의와 발전 방향
- 에도시대(江戸時代)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1) - 무가(武家)의 재정 상황을 중심으로
- 중국과 프랑스의 교류에 관한 연구 - 시기별 교류를 중심으로
- ‘인문(人文) 정치’에 대한 시론 - 『논어』에 나타난 ‘인의 정치[仁政]’와 악셀 호네트(A. Honneth)의 ‘인정투쟁’을 연계하여
- U.S. Foreign Strategy and Multilateral Structures on China from Diversification to Discouragement: Multilateral Diplomacy Perspective
- 현직 국회의원의 SNS(Facebook) 활용이 재당선에 미치는 영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리빙랩의 관점에서 본 시민 주도 지역브랜드 창출: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사례
-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민첩성과 경력준비행동의 관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요인 탐색 : 놀이지원 역량, 긍정적 놀이신념,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운영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개인 및 직무 변인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과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