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에도시대(江戸時代)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1) - 무가(武家)의 재정 상황을 중심으로
이용수 5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 side job and Craftsmanship of Samurai in the Edo Period : Centered on the financial situation of Samurai families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신종대(Jongdae Shi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2호, 231~25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도 일본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세습의 전통이 많이 남아있다고 한다. 이것은 일본 사회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중에는 무사와 관계있는 것들이 많다. 에도시대 막부(幕府)나 번(藩)에서는 세대를 초월하는 고용 방식으로 무사의 토지와 가문의 명예를 영원히 보장해 주었다. 이것이 무사 신분이 세습되는 전통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세습의 전통은 기업의 연공서열과 종신고용 방식으로 이어졌다. 일본은 스페셜리스트(Specialist)가 많고, 제너널리스트(Generalist)가 적다. 관공서나 기업에서는 현장 실무자나 전문가에게 맡기는 경향이 있다. 평소에는 현장 전문가가 기안한 안이 의사결정 과정에 최종안으로 결정되는 품의제(稟議制) 방식의 의사결정을 선호한다. 이러한 의사결정 방식은 현장의 의견을 존중한다는 생각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현장 실무자, 즉 스페셜리스트의 의사를 존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인정신을 이야기할 때 지배 계급과의 관련이 깊은 나라는 일본이 유일하다. 무사, 특히 하급 무사의 70% 이상은 부업에 종사했다. 이것은 일본에는 전문직 장인뿐만 아니라 부업을 하는 장인이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배 계급이 장인정신의 당사자였다는 것은 다른 지역이나 국가에서는 잘 볼 수 없는 일본만의 특징이다. 하급 무사의 부업에서 시작된 기술이나 공예가 그 지역과 국가를 대표하는 전통 공예가 된 것이 많다. 이처럼 일본에는 전문직 장인에 의해 계승된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농민이나 지배 계급인 무사, 특히 하급 무사들에 의해 전승되고 발전되어 온 전통 공예나 문화가 많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가 세대를 초월해 이어져 오면서 일본에서 장인 문화가 발달할 수 있는 요건이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t is said that Japan still has many hereditary traditions in various fields.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out Japanese society. Many of them have something to do with samurai. In the Edo period, the shogunate and domain guaranteed the honor of samurai's land and family forever through a system of employment that transcended generations. It can be said that this created a tradition in which samurai status was inherited. This tradition of hereditary succession also leads to the seniority of companies and the lifetime employment system.
What was learned and shared by the ruling class leading the society was accepted by the common class, and some of them became behavioral and cultural customs of the people of that country. Korea's high enthusiasm for education is largely attributed to the Confucian tradition of highly evaluating people with knowledge and personality. At its foundation, it is largely due to the history and culture that have longed for Seonbi, a flawless personality that embodies Confucianism.
The tea ceremony, which was a status symbol of warlords in the Sengoku period, was established as an educational etiquette for merchants in modern times and women in modern times, and is still handed down as a traditional culture representing Japan.
Occupation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human life are one of them. In the Edo period, it is easy to think that there was no freedom to choose a job in a society fixed with samurai,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However, except for court nobles and daimyo, they were able to choose their occupations quite freely depending on their own efforts. Moreover, there were quite a few people who had side jobs. Apart from specialists, there were samurai and farmers who worked hard on manufacturing as a side job.
Japan is a country where there are many long-lived enterprises rarely seen in the world, and there are many craftsmen who are confident in their skills and stubborn but have an honest professional mind about their work. The professionalism of craftsmen is called craftsmanship. Craftsmanship is one of the key words to understand Japan. Skillful technology is accomplished by successi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e is stubborn and unyielding, strict with himself and others, has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has the same professionalism as samurai.
It is well known that low-ranking samurai had side jobs. An expression of a strong sense of pride and professionalism inherent in a person who has excellent professional skills and makes things by hand. Similar expressions include “artisan spirit,” and “craftsmanship.”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amurai who were forced to work part-time and craftsmanship. This is to find out how the Edo bakufu's principle of banning career choice was actually changed.
목차
Ⅰ. 서론
Ⅱ. 장인의 역사와 선행연구
Ⅲ. 무가의 재정(財政) 상황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언어의 접촉과 어휘 변화의 역동성
- 중국의 전통문화 재해석과 현대적 활용 - 閩南의 관우 문화를 중심으로
- 말뭉치에 나타난 독일어의 한국어 표기 오류 양상
-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과 의미 - 장정일 시를 중심으로
- 19세기 영국의 『삼국지연의』 번역: 조지 가디너 알렉산더를 중심으로
- 김수영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
- 이희경과 안공근의 상해임정 모스크바 특사활동 연구
- 시진핑 시대, ‘중화 우수 전통문화’의 함의와 발전 방향
- 에도시대(江戸時代)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1) - 무가(武家)의 재정 상황을 중심으로
- 중국과 프랑스의 교류에 관한 연구 - 시기별 교류를 중심으로
- ‘인문(人文) 정치’에 대한 시론 - 『논어』에 나타난 ‘인의 정치[仁政]’와 악셀 호네트(A. Honneth)의 ‘인정투쟁’을 연계하여
- U.S. Foreign Strategy and Multilateral Structures on China from Diversification to Discouragement: Multilateral Diplomacy Perspective
- 현직 국회의원의 SNS(Facebook) 활용이 재당선에 미치는 영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리빙랩의 관점에서 본 시민 주도 지역브랜드 창출: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사례
-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민첩성과 경력준비행동의 관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요인 탐색 : 놀이지원 역량, 긍정적 놀이신념,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운영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개인 및 직무 변인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과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