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희경과 안공근의 상해임정 모스크바 특사활동 연구
이용수 47
- 영문명
- An Special Envoy Activities of Shanghai-Provisional Government in Moscow by Lee-Hee-Kyung(이희경) and Ahn-Gong-geun(안공근)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신명호(Myungho Shi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2호, 157~1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상해임정 대통령 이승만은 1920년 총리 이동휘가 밀파한 모스크바 특사 한형권을 1921년 소환하기로 결정하고, 이희경과 안공근을 특사로 밀파했다. 이희경과 안공근은 1922년 1월 모스크바에 도착했지만 공식특사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 결과 1922년 4월 19일과 5월 31일 두 차례 있었던 안공근의 구두보고 이후에도 소비에트러시아 외무인민위원회는 이희경을 공식특사로 인정하지 않았다. 이에 이희경은 1922년 6월 6일 러시아 외무인민위원회 위원장 치체린에게 모스크바 출국을 알리는 통첩을 보냈고 그로써 이희경의 특사활동은 끝이 났다.
당시 이희경과 안공근이 공식특사로 인정받지 못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이해할 수 있다. 첫째는 한형권, 이동휘, 김규식 등의 방해 공작으로 소비에트러시아 외무인민위원회는 상해임정을 한국인들의 수많은 파벌 중의 하나로 평가절하했다. 두 번째는 이희경이 제시한 상해임정과 소비에트러시아와의 상호협력이 필요한 현실적 배경 즉 “두 나라 공동의 적을 상대로 한 투쟁 방법을 장차 발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던 호소가 당시 러시아와 일본의 직접 협상으로 일본군 철병을 추진하게 되면서 상해임정의 필요성이 크게 떨어졌다.
그럼에도 이희경과 안공근의 모스크바 특사활동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첫째, 이희경과 안공근의 특사활동은 1920에서 1922년까지 3년 동안 이승만 세력이 추진한 대소(對蘇) 외교의 실상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둘째, 이희경과 안공근의 특사활동은 대소(對蘇) 외교를 추진한 이승만 세력의 외교 노선이 공산혁명에 반대하는 독립혁명에 있었음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셋째, 이희경과 안공근의 특사활동은 당시 모스크바에서 활동하던 이동휘, 김규식 등의 외교가 어떤 노선에 입각했으며 또 어떤 방식으로 추진되었는지를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영문 초록
In 1921, President Syngman Rhe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Shanghai decided to summon Han Hyung-kwon and instead smuggled Lee Hee-kyung and Ahn Gong-geun as special envoys to Moscow. But Lee Hee-kyung and Ahn Gong-geun were not recognized as official special envoys. There were two main reasons.
First, the Soviet Russian Foreign Affairs and People's Commission devalued the Shanghai mission as one of the numerous factions of Koreans due to obstruction efforts by Han Hyung-kwon, Lee Dong-hwi, and Kim Kyu-sik.
The second is that Lee Hee-kyung's demand for mutual cooperation with Soviet Russia and the realistic background for the Shanghai mission, “so that we can discover ways to fight against common enemies of the two countries in the future,” greatly reduced the need for the Shanghai mission as Russia and Japan pushed for the withdrawal of Japanese troops through direct negotiations at the time.
Nevertheless, the activities of Lee Hee-kyung and Ahn Gong-geun as special envoys to Moscow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irst, the activities of Lee Hee-kyung and Ahn Gong-geun as special envoys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demonstrated the reality of the Rhee Syngman forces' diplomacy during the three years from 1920 to 1922.
Second, the activities of special envoys to Lee Hee-kyung and Ahn Gong-geun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demonstrated that the Rhee Syngman forces' diplomatic line against the communist revolution was in the independent revolution, which opposed to the communist revolution.
Third, the activities of special envoys to Lee Hee-kyung and Ahn Gong-geun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demonstrated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diplomacy pursued in Moscow at the time, such as Lee Dong-hwi and Kim Kyu-sik.
목차
Ⅰ. 머리말
Ⅱ. 이희경과 안공근의 모스크바 특사 파견 배경
Ⅲ. 이희경의 모스크바 특사 활동
Ⅳ. 안공근의 모스크바 부사(副使) 활동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언어의 접촉과 어휘 변화의 역동성
- 중국의 전통문화 재해석과 현대적 활용 - 閩南의 관우 문화를 중심으로
- 말뭉치에 나타난 독일어의 한국어 표기 오류 양상
-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 작동 공간의 양상과 의미 - 장정일 시를 중심으로
- 19세기 영국의 『삼국지연의』 번역: 조지 가디너 알렉산더를 중심으로
- 김수영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
- 이희경과 안공근의 상해임정 모스크바 특사활동 연구
- 시진핑 시대, ‘중화 우수 전통문화’의 함의와 발전 방향
- 에도시대(江戸時代) 무사(武士)의 부업(副業)과 장인(匠人)정신의 상관관계 연구(1) - 무가(武家)의 재정 상황을 중심으로
- 중국과 프랑스의 교류에 관한 연구 - 시기별 교류를 중심으로
- ‘인문(人文) 정치’에 대한 시론 - 『논어』에 나타난 ‘인의 정치[仁政]’와 악셀 호네트(A. Honneth)의 ‘인정투쟁’을 연계하여
- U.S. Foreign Strategy and Multilateral Structures on China from Diversification to Discouragement: Multilateral Diplomacy Perspective
- 현직 국회의원의 SNS(Facebook) 활용이 재당선에 미치는 영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리빙랩의 관점에서 본 시민 주도 지역브랜드 창출: 원주시 한지 문화산업 사례
-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민첩성과 경력준비행동의 관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요인 탐색 : 놀이지원 역량, 긍정적 놀이신념,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운영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과제: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개인 및 직무 변인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과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 중국의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