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냉전 사회를 돌파하는 지식인 빨치산 소설의 사회성 연구
이용수 142
- 영문명
- Novel as Knowledge that broke through the Cold War society: focusing on the social meaning of 『Jirisan』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이선미(Sun-Mi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96집, 551~57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사회에서 빨치산의 문학적 형상은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듯 변화무쌍하다. 탈/냉전의 정치적 영향이 심하고 사회적 관념의 이데올로기적 금기가 여전한 한국사회에서 한국소설의 빨치산 형상은 탈/냉전의 정치적 변화와 긴밀히 연관된 문학적 이슈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여전히 반공주의가 검열의 잣대 역할을 하던 시기에 창작된 『지리산』은 1972년부터 1985년까지 장기간의 창작과정을 거치면서 한국사회의 정치사회적 성격을 가늠하는 텍스트로 역할했다.
『지리산』은 몇 사람의 수기와 작가의 자전적인 체험까지 합쳐져 구성된 실록 형식의 장편소설이며, 창작의 동기에서부터 소설이 놓여진 시대의 정치적 상황을 의식하고 그 시대와 관계될 수밖에 없는 조건을 염두에 둔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즉 『지리산』은 발표되는 순간, 혹은 다시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순간, 그 시기마다 당대 사회의 담론장에 관여하고 그 시대의 어떤 지식, 혹은 인식에 저항하고 그것을 바꾸기 위한 의도를 내장한 텍스트다. 여러 번에 걸쳐 연재와 마감을 반복하고, 출간될 시기의 사회적 담론에 맞추어 보강된 점 등은 이런 의도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처음 연재될 당시 소설 『지리산』은 실존 인물 하준수의 수기를 바탕으로 학병을 거부하고 지리산으로 들어간 지식인 청년들의 활동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일본군에 가담하기를 거부하고 지리산으로 도피하여 독립의 의지를 다지며, 공동체 생활을 하는 산사람들의 삶이 한국 근대 지식 청년들의 항일 활동의 한 계보로서 구성되는 서사를 만들어낸다. 이후 한국의 청년 지식인들이 해방 후 공산주의 활동가로 전환하는 과정은 식민지 청년의 학병 거부와 빨치산 활동이 식민지 독립과 분단으로 이어지는 한반도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될 여지를 만들어낸다. 공산주의 사상과 활동을 놓고 이어지는 주인공을 둘러싼 지식인들의 사상토론이 대화체로 세밀하게 묘사되는데, 이를 통해서 지식인 청년들의 진정성과 열망을 설득력있게 전달하기도 한다. 소설 『지리산』은 지리산 빨치산들의 좌절, 또는 인식적 오류를 한국 근대 청년 지식인들의 치명적인 역사적 패배로 비판하지만, 그들의 삶과 내면의 심리를 사상사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빨치산 형상을 복원한다. 학병거부를 위해 지리산으로 들어간 빨치산을 근대 지성사의 한 계보로 위치짓는다는 점에서 빨갱이로 죽어간 지식인들을 복원하는 역사적 해석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Jirisan』 is a novel written by combinig several persons’ meomories and the author’s autographical experiences. Since it is a form of the historical record, it is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Jirisan』 engages with contemporary public opinion and resists certain common sense. 『Jirisan』 was serialized several times. And the work had been republished several times with supplemented contents. In every process, it had an impact on the discourse of the time.
In Jirisan, young intellectuals studied the idea of philosophy and the theory of interpreting the society. And they trained their physical strength. They lived in community and prepared for motherland independence. They were partisans who were called evil communists. 『Jirisan』 was a story that partisans are also humans.
목차
1. 소설 『지리산』의 시간과 사회담론적 위치
2. 학병거부자와 지식인 빨치산
3. 지식논쟁의 대화체 서사, 인식론과 사회주의
4. 1985년의 한국사회와 『지리산』의 탈냉전적 기운 - 결론을 대신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문학논총 제96집 목차
- 한국전쟁기 순수문학의 논리와 작가적 대응
- 한국전쟁기 군가와 국민국가 만들기
- 한국전쟁기 피란문단의 형성과 시조 매체의 탄생
- 제망매가(祭亡妹歌), 보살(菩薩) 수행(修行)하는 망매(亡妹)의 마음을 그려낸 노래
- 서양인이 본 고소설의 표기문자와 향유계층
- 『笑哀樂唱歌』의 체제와 수록 작품의 양상
- 1920년대 토론회의 문화사 (1)
- 남성 작가-서술자의 경계를 넘어 여성 인물과 대면하기
- ‘하얼빈(哈爾濱)의 애수(哀愁)’와 식민지의 지정학
- 인간소외와 구원에 관한 고찰
- 『조선동화대집』과 『그림동화집』의 비교 연구
- 박용철 시론의 인지시학적 연구
- 냉전 사회를 돌파하는 지식인 빨치산 소설의 사회성 연구
- ‘우파니샤드’의 관점을 통한 심층생태주의의 복잡성 연구
- 공화국의 통치성과 소록도의 가족 로망스
- 욕망과 환상의 성찰을 위한 영상 제작 교육
- 4·3을 둘러싼 ‘기억의 정치’와 문학적 재현의 새로운 모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