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성 작가-서술자의 경계를 넘어 여성 인물과 대면하기

이용수 2

영문명
Crossing the Boundary of Male Author/Narrator to Encounter Female Characters: Focusing on Yeom Sang-Seob’s “Jeya”(1922) and “Haebaragi”(1923)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변하연(Ha-Yeon Byeo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96집, 375~40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그간 모델소설의 전형으로 여겨져 왔던 염상섭의 「제야」(1922)와 「해바라기」(1923)를 재독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델소설’이라는 규정은 ‘모델소설을 쓰는 남성 작가’와 ‘모델이 되는 신여성’이라는 구도를 상정하기 마련이다. 이 같은 구도 속에서 여성 인물은 대개 남성 작가에 의해 타자화·대상화·성애화된 존재로 호명된다. 이는 신여성 담론의 남성 중심적 성격을 드러내는 데에는 분명 유용하지만, 한편으로는 여성 인물이 지닌 가능성을 축소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작품 바깥의 남성 작가와 그를 대변하는 남성 서술자에 대해서는 의도적으로 거리를 둔 채 여성 인물의 행위와 발화에 보다 집중하고자 했다. 그 결과 본고는 ‘성적 방종’과 ‘자기모순’이라는 말로 비난받아온 여성 인물들의 행위로부터 새로운 의미를 길어낼 수 있었다. 그들의 행위는 기실 자유연애에 경도된 신여성 개인의 도덕적 타락이라기보다도 여성들이 경제적·사회적 자립을 이루기 어려운 현실로부터 배태된 것이었다. 이렇게 본다면 「제야」와 「해바라기」는 오히려 그러한 현실로부터 괴리된 자유연애/결혼 담론의 허구성을 폭로하는 소설이 된다. 이처럼 남성 작가에 의해 창조된 여성 인물들은 남성 작가에게 일방적으로 예속된 존재가 아니라, 텍스트에 새로운 서사를 기입하는 능동적 존재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reread Yeom Sang-Seob’s “Jeya”(1922) and “Haebaragi”(1923), which are considered as the epitome of the “model novel”. The term “model novel” tends to construct a structure of ‘male writer who writes a model novel’ versus ‘new woman who becomes a model’. In such a structure, female character is usually regarded as an otherized, objectified, and sexualized by male writers. While this is certainly useful in exposing the androcentrism of the ‘new women’ discourse, it also limits the possibilities of female characters. Therefore, this paper deliberately distances itself from the male author/narrator and focuses more on the actions and utterances of the female characters.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derive new meanings from their actions, which have been criticized as ‘sexual indulgence’ and ‘self-contradiction’. Those are born out of the reality of women having difficulty achieving economic and social independence, rather than the moral decadence of a new woman indulging in ‘free love’. In this way, “Jeya” and “Haebaragi” are literary works which expose the unrealistic aspect of the ‘free love/marriage’ discourse lacking in awareness of reality. As such, the female characters created by the male author are not subordinate to him, but are active beings who write new narratives in the text.

목차

1. ‘모델소설’이라는 범주를 넘어서
2. 「제야」: 인습적 혼인제도로부터의 탈출의 서사
3. 「해바라기」: 실패한 연애를 향한 추도의 서사
4. 신여성과 (자유)연애/결혼의 문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하연(Ha-Yeon Byeon). (2024).남성 작가-서술자의 경계를 넘어 여성 인물과 대면하기. 한국문학논총, (), 375-409

MLA

변하연(Ha-Yeon Byeon). "남성 작가-서술자의 경계를 넘어 여성 인물과 대면하기." 한국문학논총, (2024): 375-4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