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이용수 116
- 영문명
- Web novel creation starts from the basics of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안미영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669~68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산경의 『실패하지 않는 웹소설 연재의 기술』(위즈덤하우스,2020)를 소개했다. 산경은 『재벌집 막내아들』로 잘 알려진 작가이다. 이 저서에서 산경은 작가 지망생들에게 자신과 같은 시행착오를 겪지 말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경험을 통해 터득한 노하우를 공유했다. 많은 웹소설 작가들이 작법서를 발간하고 자신의 창작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그중 산경의 작법서가 돋보이는 이유는 웹소설 창작이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전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경은 18가지를 제시했는데, 이 글에서는 그 중 소재 선택, 캐릭터 설정, 플롯 선택, 자료 찾기와 활용,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문장쓰기, 시점의 활용, 영감의 원천, 다독 다상량 다작 9가지를 소개했다. 산경의 작법서는 ‘내용’과 ‘문장’에 대한 성실함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것은 웹소설에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라 모든 글쓰기의 기본기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ntroduced Sankyung’s “The Technology of Continuing Web Nov-els” (Wizdom House, 2020). Sankyeong is a well-known author of “The Youngest Son of a Congregation.” In this book, Sang-kyung shared the know-how he learned through experience with aspiring writers in the hope that he would not experience the same trial and error as he did. Many web novel writers publish their writing books and share their creative know-how. Among them, Sangyeong’s writing book stands out because it conveys that the creation of web novels starts from the basics of writing. Shan-kyung presented 18 of them, and this article introduced nine of them: material selection, character setting, plot selection, data search and utilization, prologue and epilogue, sentence writing, use of perspective, source of inspiration, and Extensive Reading, Prolific Writing, In-depth Thinking. Sankyeo-ng’s writing can be summarized as sincerity about ‘content’ and ‘sentence’. It’s not just a story for web novels, it’s the basis of all writing.
목차
1. 들어가며
2. 웹소설 창작, 글쓰기의 기본
3.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