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on the Identity of Gyobang Deconstruction Gisaeng Art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양지선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489~51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근대 교방이 해체되는 과정에 나타나는 기생의 신분과 예술의 정체성을 조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교방(敎坊)’은 고려 광종 이전에 설치되어 조선시대를 지나 1910년까지 존재한 기관이다. 천년 이상 지속된 교방 해체의 의미 분석 보다는 근대기생의 개인적인 활동들에만 치중하여 연구되고 있다.
교방은 국가가 기획적으로 운영한 조직이며, 근대 기생조직은 개인이나 민간의 영역에서 운영되던 것이다. 교방의 해체는 국가 음악기관의 상실과 관기 신분이 사라진것을 의미한다. 교방 해체 이후 상업자본으로 인한 대중예술이 대세를 이루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 기생은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예술적 역량을 축적하였다. 따라서교방 해체 이후 변화된 기생의 신분과 예술활동의 정체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status and artistic identity of gisaengs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modern Gyobang. Gyobang was established before King Gwangjong of the Goryeo Dynasty and existed until 1910, passing through the Joseon Dynasty. Rather than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dismantling of Gyobang, which has lasted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it is being studied by focusing only on the personal activities of modern gisaengs.
Gyobang is an organization planned by the state, and modern parasitic organizations were operated in the private or private sector. The dissolution of Gyobang means the loss of the national music institution and the disappearance of the official status. After the dissolution of Gyobang, popular art due to commercial capital became a trend. Nevertheless, modern gisaeng accumulated artistic capabilities through various activities. Therefore, we would like to study the status of gisaengs and the identity of artistic activities that have changed since the dissolution of Gyobang.
목차
1. 서론
2. 근대 교방의 해체와 기생
3.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양상
4.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