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이용수 1514
- 영문명
- Digital Media Literacy Per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최진영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241~27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디지털 전환과 사회적 불확실성의 증가를 대비하여 언어 소양과 디지털 소양을 강조하였다. 새 교육과정의 취지는 국제 사회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요시하는 흐름과 함께한다. ‘ChatGPT’와 같은 기술이 등장한 미래는 디지털 기술 기반의 리터러시가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다. 이에,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신설된 공통 교육과정 ‘국어’, 고등학교 ‘공통국어 1, 2,’ 및 ‘매체 의사소통’에 반영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요소에 대하여 현재 중·고등학생의 인식을 실증적으로 탐색해 보고,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정보를 마련하고자 한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인지적 요소 16개 문항과 정의적 요소 10개 문항을 활용하여 검사 도구를 제작하고 학생들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 전체 평균 값이 3.5점 이상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결과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디지털 친숙성을 활용한 수업과 평가가 필요하다. 둘째, 목적과 목표가 명확한 디지털 미디어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 셋째, 비판적으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수업과 평가가 필요하다. 넷째,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시간을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Korea 2022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 language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in preparation for the digital transition and increased social uncertainty. The purpose of the new curriculum is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mphasis on digital media literacy. In the future when technology such as ChatGPT has become widespread, literacy based on digital technology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mponents of digital media literacy. In the “Korean Language”, “Common Korean Language 1, 2,” and “Media Communication” segments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igital media literacy classes considering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 test tool with 16 cognitive components and 10 affective components of digital media literacy was created, and students’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overall average value was 3.5 points or higher, indicating a positive perception of digital media literacy.
This analysis established the following. First, classes and evaluations involving digital familiarity are needed. Second, digital media challenges with clear goals and objectives should be presented. Third, classes and evaluations of the critical judgement of information are needed. Fourth, sufficient time should be provided for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digital media.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검사 도구 개발
4.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결과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