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이용수 1186

영문명
Digital Media Literacy Per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최진영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241~27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디지털 전환과 사회적 불확실성의 증가를 대비하여 언어 소양과 디지털 소양을 강조하였다. 새 교육과정의 취지는 국제 사회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요시하는 흐름과 함께한다. ‘ChatGPT’와 같은 기술이 등장한 미래는 디지털 기술 기반의 리터러시가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다. 이에,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신설된 공통 교육과정 ‘국어’, 고등학교 ‘공통국어 1, 2,’ 및 ‘매체 의사소통’에 반영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요소에 대하여 현재 중·고등학생의 인식을 실증적으로 탐색해 보고,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정보를 마련하고자 한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인지적 요소 16개 문항과 정의적 요소 10개 문항을 활용하여 검사 도구를 제작하고 학생들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 전체 평균 값이 3.5점 이상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결과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디지털 친숙성을 활용한 수업과 평가가 필요하다. 둘째, 목적과 목표가 명확한 디지털 미디어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 셋째, 비판적으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수업과 평가가 필요하다. 넷째,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시간을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Korea 2022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 language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in preparation for the digital transition and increased social uncertainty. The purpose of the new curriculum is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mphasis on digital media literacy. In the future when technology such as ChatGPT has become widespread, literacy based on digital technology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mponents of digital media literacy. In the “Korean Language”, “Common Korean Language 1, 2,” and “Media Communication” segments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igital media literacy classes considering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 test tool with 16 cognitive components and 10 affective components of digital media literacy was created, and students’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overall average value was 3.5 points or higher, indicating a positive perception of digital media literacy. This analysis established the following. First, classes and evaluations involving digital familiarity are needed. Second, digital media challenges with clear goals and objectives should be presented. Third, classes and evaluations of the critical judgement of information are needed. Fourth, sufficient time should be provided for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digital media.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검사 도구 개발
4.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결과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영. (2023).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리터러시 연구, 14 (2), 241-276

MLA

최진영.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리터러시 연구, 14.2(2023): 241-2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