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이용수 177
- 영문명
- A Study o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Writing Education Using Technical Writing: Focusing on Improving Communication and Ethical Cap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장서란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277~30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이공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양 국어 수업에서의 테크니컬 라이팅의 확장 적용 및 활용의 가능성과 의의를 탐구하였다. 테크니컬 라이팅은 독자를 이해시키고 납득시키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하는 글쓰기이다.
연구자는 광의의 테크니컬 라이팅의 개념을 제시하고 테크니컬 라이팅을 과학기술자의 정보 전달 의무와 연결함으로써 이를 과학과 사회의 관련성을 드러내는 과학사회학적 윤리 논의로 확장하였다. 나아가 뉴스와 칼럼, 웹툰을 활용하여 테크니컬 라이팅의 구성 요소와 작법을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은 허위 과학기술 정보로인한 피해를 방지·해결하기 위한 테크니컬 라이팅을 작성함으로써 과학 윤리에 대한인식을 확장하였다.
과학기술 정보를 명확히 전달하는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의사소통 역량과 사회적 책임을 바탕으로 한 윤리 역량을 제고하는 데에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the application and use in a broad sense of technical writing in liberal arts Korean classes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echnical writing is writing with the primary purpose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and convincing the reader.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concept of technical writing in a broad sense. By connecting technical writing to the obligation of scientists and engineers to deliver information, it was expanded to discuss the sociology and ethics of science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society. Furthermore, the components and methods of technical writing were explained using news, columns, and webtoons, through which students expanded their perception of scientific ethics through technical writing to prevent and remedy damage caused by fals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Writing classes using technical writing that clearly convey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will help students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ethical skills based on social responsibility.
목차
1. 서론
2. 이공계 글쓰기 수업에서의 테크니컬 라이팅 활용 가능성
3.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수업의 실제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