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이용수 322
- 영문명
- The Digital Age, Reading Humanities with Web Novels: With a focus on 『Return of the Blossoming Blade』 and 『Omniscient Reader』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희영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653~66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웹소설 장르가 독자에게 인문학적 고찰의 계기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서 대중적으로 성공을 거둔 웹소설 <화산귀환>과 <전지적 독자 시점>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 작품 모두 매력적인 캐릭터를 중심으로 사건 중심의 서사를 빠르게 이끌어간다는 점, 인물들의 말과 행동을 통해 독자들이 인문학적으로 사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 독자들은 댓글을 통해 서로 적극적으로 생각을 공유한다는 점이 특징이었다.
이러한 사례는 웹소설 작품에 드러나는 인문학적 가치가 작품의 성공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고, 동시에 웹소설이 인문학의 디지털 콘텐츠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웹소설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웹소설 작품에 대한 깊이 읽기와 비평이 이루어져야 하고, 체계적 관점에서의 창작론과 작품론이 연구되어야 한다. 이것은 곧 웹소설 산업의 자양분을 튼튼하게 하는 일일 것이고, 동시에 인문학이 디지털 콘텐츠 시장에서 자생할 수 있게 하는 일일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was written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xamining the humanities with web novels. To this end, the popular web novels and were examined from a humanities perspective. As a result, both works were characterized by quickly leading event-oriented narratives centered on attractive characters, allowing readers to think about human-ities through the words and actions of the characters, and readers actively sharing thoughts with each other through comments.
This example shows that the humanities values revealed in web novel works can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he work. And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web novels can replace the role of digital content in the humanities.
For this reason, a humanities approach to web novels is needed. Deep reading and criticism of web novel works should be conducted, and creative theory and work theory from a systematic perspective should be studied. This will strengthen the nourishment of the web novel industry, and at the same time, enable the human-ities to grow naturally in the digital content market.
목차
1. 디지털 대전환 시기의 인문학
2. 디지털 콘텐츠로서 웹소설
3. 인문학으로 웹소설 읽기
4. 인문학 콘텐츠로서 웹소설의 가능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