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lloquial writing and its problem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수곤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377~39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생 글은 정제되지 않았다. 정보는 단순한데, 글의 양은 장황했다. 말하기를 글쓰기로 옮겨놓은 듯한 느낌이다. 글은 “더 설계하고 더 선택하고 더 조직”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곤란한 현상이다.
학생 글의 문제점을 ‘구어체의 문어체화’라 규정했다. ‘주제와 무관한 심리의 표출’, ‘동일한 단어의 불필요한 반복’, ‘정보의 전달보다는 친교적 기능의 강화’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지시표현’을 예로 하여 정리했다.
치밀한 수사적 전략을 통한 글쓰기가 가독성과 설득력을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방안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못했는데, 후속 연구로 이어갈 예정이다.
영문 초록
Student writings generally lack refinement. Lengthy and unstructured writing makes the information less coherent. It appears as speech in written form. Such writing is difficult to comprehend. The text should be “more designed, selected, and organized.”
This study defined the problem of student writing as “the written language of spoken language.'” It was delineated as an “expression of psychology unrelated to the subject,” “unnecessary repetition of the same word,” and “strengthening of friendly functions rather than delivery of information.” Finally, it explained writing as an “instructional exp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a meticulous rhetorical strategy could increase readability and persuasion. Along with that, writing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in this direction. Follow-up research will discuss specific educational measures.
목차
1. 고찰 목적과 고찰 대상
2. 학생 글의 문제점과 그 이유: 구어체의 문어체화
3. 나오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