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An Analysis, Comparison, and Contrast of Four Editions of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s: Focusing on 1988 Microfilm Edition, 1995 Photoprint Edition, 1999 Black Scanning Edition, and 2022 New Color Scanning Edi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정남 水谷淸佳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515~558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인 ①‘1988년 총무처정부기록보존소의 마이크로필름(M/F번호 : 88-0605)’, ②‘1995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의 영인본’, ③‘1999년 행정자치부 정부기록보존소의 흑백스캐닝(OD)본’ 과 2022년에 새롭게 제작·입수한 ④‘2022년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의 새로운 칼라스캔본’을 각각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서로 비교·대조하여 각 복제본들의 특징과 문서 구성 현황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첫째,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가장 최초의 복제본인 ①‘1988년 총무처정부기록보존소의 마이크로필름(M/F번호 : 88-0605)’의 PDF파일의 총 페이지수는‘212장’이다. 하지만 중복 및 누락 등 모든 문서의 구성 현황을 분석·종합해보면 첫번째 복제본인 ①‘1988년 총무처 정부기록보존소의 마이크로필름’의 ‘중복된 문서를 제외한 총 페이지수’는 ‘210장’이다.
둘째,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두 번째 복제본인 ②‘1995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의 영인본’은 인찰지(印札紙) 1장을 반으로 잘라 각각 따로따로 한페이지에 영인하였기 때문에 잘려진 낱장 2개를 한 페이지로 단순 계산하면 145~ 237쪽까지 총 93페이지, 1페이지에 2장의 문서, 즉 총 186장이다. 하지만 낱장·중복· 누락 등 모든 문서의 구성 현황을 분석·종합해보면 두 번째 복제본인 ②‘1995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의 영인본’의 ‘실제 총 페이지수’는 ‘207장’이다.
셋째,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세 번째 복제본인 ③‘1999년 행정자치부 정부기록보존소의 흑백스캐닝(OD)본’의 PDF파일의 총 페이지수는 ‘213장’이다. 하지만 중복 및 누락 등 모든 문서의 구성 현황을 분석·종합해보면 세 번째 복제본인 ③ ‘1999년 행정자치부 정부기록보존소의 흑백스캐닝(OD)본’의 ‘중복된 문서를 제외한 총 페이지수’는 ‘211장’이다. 넷째,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네 번째 복제본인 ④‘2022년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의 새로운 칼라스캔본’의 PDF파일의 총 페이지수는 ‘212장’이다. 여기서 ‘원본(原本)’에는 존재하지 않는 정부기록보존소가 후에 별도로 제작한 커버 ‘1장’을 제외하면 총 페이지수’는 ‘211장’으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 ‘원본(原本)’의 총페이지수인 ‘211장’과 일치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료조사 과정에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 ‘원본(原本)’에는 존재하지 않는 문서 3장을 추가적으로 발굴하였다. 즉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한 책(冊)으로 편철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총 211장’이지만, 새롭게 발굴된 3장의 문서를 합하면 실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에 관한 문서는 ‘총214장’이다. 이는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원(原)자료를 재구성하는 후속 연구를 통해서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losely analyzed the following copied editions of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s: 1. the 1988 Microfilm Edition (M/F No. 88-0605)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2. the 1995 Photoprint Edition of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University of Seoul, 3. the 1999 Black and White Scanned Edi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4. the 2022 Color Scanned Edi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which was produced and procured in 2022. This study then compared them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each edition in detail.
First, the 1988 Microfilm Edition (M/F No.:88-0605)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earliest copy of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s, has a total of 212 pages. However, taking into account repeated and omitted pages and other factors, there were a total of 210 pages.
Second, in the 1995 Photoprint Edition of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University of Seoul, each lined page is divided in half and printed separately. Counting two divided sheets as one page yields a total of 93 pages (pp. 145-237), for a total of 186 pages. After taking into account single sheets, repetitions, and omissions, the 1995 Photoprint Edition of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University of Seoul, has a total of 207 pages.
Third, the 1999 Black and White Scanned Edi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is a PDF file with 213 pages. Taking into account repetitions, omissions, and other factors, the black and white scanned edition has a total of 211 pages.
Fourth, the 2022 Color Scanned Edi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s a PDF file with 212 pages. This edition has one cover page not in the original copy but produced separately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part from this, the 2022 Color Scanning Edition has a total of 211 pages, the same as the original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s.
Lastly, this study found three additional documents not included in the original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s. Including them with the bound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s yields a total of 214 pages. The newly found documents will be clarified in more detail in follow-up research on reorganizing the source material of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s.
목차
1. 문제제기
2.‘ 1988년 총무처 정부기록보존소의 마이크로필름’ 분석 및 비교·대조
3.‘ 1995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의 영인본’ 분석 및 비교·대조
4.‘ 1999년 행정자치부 정부기록보존소의 흑백스캔닝(OD)본’ 분석 및 비교·대조
5.‘ 2022년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의 새로운 칼라스캔본’ 문서 구성 현황
6.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