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이용수 417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Reading Education Using Jigsaw Model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손주희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37~6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읽기 교육의 새로운 방법으로 직소(Jigsaw)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어 읽기 교수-학습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직소Ⅳ 모형을 수정하여 한국어 읽기 교육에 적용한 단계별 절차를 설계하였다.도입 단계, 원래 모둠 단계, 전문가 모둠 단계, 원래 모둠 단계, 평가 단계, 피드백 단계의 6단계로 구성하였다.
직소 활동 경험과 효과에 대한 실험을 위해 35명의 중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4주차 수업을 진행하였다.실험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의 설명 능력, 이해력, 집중력이 상승하였으며, 상호작용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에도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습 동기와 흥미 상승, 학습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 연계 수업을 통한 전반적인 한국어 능력신장의 효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직소 모형은 한국어 읽기 수업에 효과적이며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기법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사례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eaching-learning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the Jigsaw model as a new method of Korean reading education.
The Jigsaw IV model was modified to design a step-by-step procedure applied to Korean reading education. It consisted of six stages: the introduction stage, the original group stage, the expert group stage, the original group stage, the evaluation stage, and the feedback stage.
In order to experiment on the experience and effectiveness of Jigsaw activities, the fourth week of classes was conducted on 35 Chinese and Japanese. In order to confir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surveys and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earners’ explanatory ability,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increased. It also works for interac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have increased, and anxiety about learning can be resolved. In addition, Korean language skills were further improved by adding various activities through classes linked to other areas.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an example of confirming that the Jigsaw model is an effective and applicable teaching-learning technique for Korean reading class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직소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수-학습 방안
4. 직소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의 효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