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이용수 28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llege Student Liberal History Class Using Media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고유경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185~21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국내외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육에 대해 관심이 뜨겁다. 하지만 아직까지 역사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양 역사 수업을 실시한 실행연구이다. 수업은 2022년 1학기에 온라인zoom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영화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의 과정에서 익숙한 내용에 더 관심을 보였으며, 새로운 호기심을 가지기도 했다. 둘째, 학생들이 배경지식을 잘 알고 있을때 보다 비판적으로 미디어를 분석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토론 과정에서 자신의 지식이 정확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동료와 교수자를 통해 지지를 받았을 때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 넷째, 대학 구성원의 다양성은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본 연구는 앞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어떻게 역사교육에 도입하여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비록 하나의 학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이기에 그한계가 명확하지만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oday, interest in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is hot at home and abroad.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utilized media literacy in history subjects. This study is an implementation study of liberal arts history classes using media literacy targeting college students. Classes were held online zoom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more interest in familiar contents in the course of classes using film media, and also had new curiosity. Second, when students were well aware of the background knowledge, they tended to analyze the media more critically. Third, students were able to gain confidence when they recognized that their knowledge was accurate during the discussion process and were supported by peers and instructors. Fourth, it is believed that the diversity of university members can be sufficiently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This study presented a direction for how to introduce and utilize media literacy in history education in the future. Althoug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clear since it is an experiment targeting one school, more research is expected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역사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3. 대학교 역사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설계와 실행
4.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