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이용수 18

영문명
A study on memory reproduction in the memoirs of writers after the war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미정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559~58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 『苦難의 90日』을 통해 전쟁을 재현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전쟁 시기 회고록은 남한에서 살아나가야 하는 자기 증명의 목적과 단정 수립 이후 새로운 역사를 창건한다는 정체성 재구축의 과정을 함의한다. 국가는 전쟁 이후 정훈국을 중심으로 반공 이데올로기 문화 사업에 문인들을 동원했다. 그 일환에서 생산된 『苦難의 90日』, 『흘러간 群像들』, 『動亂의 眞相』은 서울 수복 후인 1950년11월에 정훈국이 출간한 저서들이다. 국가는 북한군의 실상, 6·25의 국제 정세 속 남한의 위상, 희생자 의식 등을 공고히 했으며, 이를 위한 회고록의 역할은 공식의 기억을 확산시키고 정치적 헤게모니로서 전쟁을 소비하는 것이었다. 『苦難의 90日』은 전쟁을 경험한 개인의 기억을 담론화하고 국가의 공식 기억을 유포·확산시키는데 일조했다. 이 저서는 문인 유진오와 모윤숙, 고려대학교 교수 이건호, 전 한성일보 정경부장 구철회가 북한의 서울 점령기를 체험한 회고의 글이다. 유진오와 모윤숙의 글은 중심인물을 부각시키고 고난과 극복을 감행하는 서사구조를 통해 전쟁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했다. 유진오는 이성적 자아가 무너진 상태에서 파편화된 심리적 체험을 극대화했다면, 모윤숙은 피해자를 전면화하여 비극적 이야기를 역설하고 있다. 이 둘은 인물의 행위와 심리에 집중했다는 점에서 핍진한 이야기를강조하고 역사적 리얼리티를 부각시켰다. 반면 이건호와 구철회의 글은 기억의 주체를 소거하며 반공주의를 웅변하거나, 전쟁 참상을 극대화하여 피해자 의식을 전면화했다. 『苦難의 90日』은 국가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반공이데올로기를 확산하는 구성이다. 유진오와 모윤숙의 글이 전쟁 체험에 대한 이야기에 집중한다면 이건호와 구철회의 글은 웅변적 서술을 통해 반공 체제의 작동 원리를 대변하고 있다. 서울 수복 이후전쟁을 규명해야하는 당위성 아래 개인의 기억을 역사화하는 과정은 여러 문인들의 참여를 통해 공고히 되었다.전쟁의 피해자를 명시하고 남과 북의 대립을 구체화하며 북한의 만행과 전쟁의 참상을 역설하였다.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이 ‘기억하기’라면 1950년 서울 수복 이후 전쟁을 규명하는 과정은 국가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중요한 작업이다. 회고록은 개인의 경험을 기억으로 서사화하지만, 그 서술 맥락은 당시의 필요성에 의해 사후적으로 재구성된다는 점에서 전쟁의 기억은 남한을 규범화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war in the memoirs of postwar writers, 90 days of hardship. Memoirs of the war contain a self-proof of the purpose of surviving in South Korea. The state deployed literary men in cultural projects to spread anti-communist ideology. The book produced as part of this program is 90 days of hardship. The national anthem emphasized the North Korean military’s reality, South Korea’s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June 25, and the victims’ consciousness. Memoirs played the role of spreading the memory of the nation at that time. Yu Jin-oh and Mo Yun-suk, Korea University professor Lee Kun-ho, and former Hansung Ilbo political and police chief Koo Cheol-hoe wrote this book. They recalled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occupation of Seoul by North Korea. The narrative structure of Yu Jin-oh and Mo Yun-suk’s writings highlights the central character and ventures through hardships and overcoming. While Yu Jin-oh described fragmented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which the rational self collapsed, Mo Yun-suk emphasized the tragic story of the victim. Their writings explored the true story and revealed the historical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writings of Lee Kun-ho and Gu Cheol-hoe eliminated the subject of memory, eloquently expressed anti-communism, and maximized the horrors of war. 90 days of hardship echoed the national identity and spread the anti-communist ideology. It specified the victims of the war and embodied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Remembering’ is the task of establishing meaning to individual and collective identities. This was an important purpose for investigating the war after the restoration of Seoul in 1950.

목차

1. 서론
2. 전쟁 체험과 국가관의 재현
3. 전쟁 회고의 반공 텍스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정. (2023).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리터러시 연구, 14 (2), 559-586

MLA

이미정.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리터러시 연구, 14.2(2023): 559-5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