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이용수 126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Expository and Narrative Writing Skills in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순영 유승아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463~48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 4학년 학생들이 6학년 말에 이를 때까지 3년간의 쓰기 능력의 발달양상을 분석한 종단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321명의 초등학생이 고학년 시기에 작성한 설명글과 이야기글을 매년 수집하여, 글의 정량적 정보를 확인하고 잠재성장모형(LGM)을 이용해 발달 궤적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등 고학년 3년간 학생글의 분량(글자 수, 문장 수)는 증가폭이 정체되거나 소폭 감소하였고, 의미 단위 수는 증가하였으며, 오류 글자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이는 전사가 자동화되고 쓰기 유창성이 확보된 후에 문장 성숙도가 향상(문장 길이와 복문 증가)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LGM으로 쓰기 능력 발달 궤적을 검증한 결과, 설명글과 이야기글 모두 선형 모형이확인되었다. 아울러 4학년 때의 쓰기 능력(초기값)에는 읽기 능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설명글에는 이와 함께 쓰기 태도가, 이야기글에는 받아쓰기도 유의), 이후 쓰기 능력의 변화율(기울기)에는 유의한 영향 요인이 없었다. 셋째, 쓰기 능력과 요인별 비중을확인할 결과, 고학년으로 갈수록 쓰기 능력에서 글의 질 > 글자 수 > 쓰기 정확도 순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고, 글의 하위 요인별(설명글의 내용, 조직, 표현; 이야기글의 인물, 사건, 배경, 표현) 영향력은 균등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초등 고학년은 저학년에서 습득한 전사 능력과 쓰기 유창성을 바탕으로, ‘담화 수준의 능숙한 쓰기’로 나아가면서 쓰기 능력의 질적 변화가 나타나는 중요한 시기였다. 초등 고학년 시기는 쓰기능력의 발달 폭과 속도가 둔화되는 점이 특징인데,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글의 구성 능력을 높이고 쓰기 목적과 독자를 인식하는 쓰기 방법을 습득하도록 실제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s of writing skills in the expository and fictional narrative writings of 321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the number of letters and sentences in writing stagnated or decreased slightly, but the number of T-units increased, suggesting improved sentence maturity. Second, latent growth modeling confirmed a linear model for both explanatory and narrative writing. Third, factor analysis found that the quality of writing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weight) of writing skills. This study found that upper elementary school is an important period for qualitative changes in “discourse-level proficiency writing” based on the transcriptional skills and writing fluency acquired in lower grades. Practical guidance is thus needed to improve the skills of 4th to 6th graders in text organization and in identifying the purpose and reader of the writing.
목차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초등 고학년 쓰기 교육과 선행 연구
3. 초등 고학년 쓰기 발달 연구의 방법
4. 초등 고학년 쓰기 발달 연구의 결과
5. 연구의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