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129
- 영문명
- Exploring Korean Folktale Education as a Means of Enhancing Cultural Literacy in Korean Language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혜정 윤영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65~9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문화를 체계적으로 읽어 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문화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최근 한국문화교육에서는 한국 문화의 일방적 전달이 아닌 상호 간의 문화를 존중하며 서로 간의 문화를 탐색하고 배우도록 하는 상호문화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이 의미 있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문화를 정확히 읽고 이해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문화 리터러시 교육이 그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과거 한국인들의 가치와 사상, 생활을 잘 반영하고 있는 설화를 통해 문화 리터러시 교육의 실제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 리터러시의 개념을여러 연구를 토대로 재개념화하고 문화 리터러시 수업모형을 구성하여 제시하였으며 한국의 대표적인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선정하여 수업모형에 따라 수업 내용과 활동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 리터러시 개념과 문화 리터러시 요소를 여러 연구를 종합해 정리하고 한국의 옛이야기인 설화를 통해 문화 리터러시를 학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ducation plan for cultural literacy as a mean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increasingly emphasized mutual cultural exchange and learning in recent years. To carry out these activities meaningfully, it is crucial to accurately read and understand each culture, and cultural literacy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achieving this goal. This study demonstrates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literacy education, particularly through folktales that reflect the values, thoughts, and lives of Koreans in the past. We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cultural literacy based on various studies and present a cultural literacy class model. Additionally, we select a representative Korean tale,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and provide detailed class content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class model. By integrating various studies, this study summarizes the concept and elements of cultural literacy and proposes a specific plan for learning cultural literacy through Korean folktales. This research offers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cultural education by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 literacy and providing a practical approach to teaching it through a traditional Korean story.
목차
1. 서론
2. 문화 리터러시 관련 선행연구
3. 문화 리터러시의 개념 및 교육모형
4.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수업의 실제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