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Race Attribution of Whag Je Observed in “Shiji(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명옥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609~6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황제의 민족 귀속문제는 고대 중국의 문제가 아니라 지금 현실의 문제이다. 사마천이 한족의 역사를 서술하면서 황제를 그들의 조상시조로 만들었다. 그러나 중국의 1차사료가 말하는 황제는 동이족임이 분명하고, 그 후손도 마찬가지다. 동이족으로 유명한 소호가 황제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소호는 너무나 유명한 동이족이기 때문에 그를 한족으로 바꿀 수 없었던 사마천은 소호를 삭제하고 황제를 한족의 시조로 삼았다. 황제가 동이족임을 알고 있었다는 뜻이다.
사마천의 고민은 현대에도 지속되고 있다. 한족의 시조는 황제인데 그의 후손들은 동이족이기 때문이다. 현대에서 화하족의 기원에 관한 연구는 황제와 그 후손 동이족들 간의 관계를 반부(연줄만들기), 존속포섭, 위임통치론 등의 방법론으로 해명하는 연구이다. 이러한 방법론 등은 황제가 한족 조상시조라는 도그마를 만드는 반면, 그 후손이 동이족임에 관해서 해명하려는 작업이다.
문제는 한족의 조상 기원인데, 황제의 민족귀속성을 말하지 않고 한족의 기원을 설명할 길이 없다는 데에 있다. 사마천 이후 많은 세월이 흘렀지만, 여전히 화하의 기원에 관해서 시원하게 해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1차사료가 존재하는 한 중국은 황제가 동이족이라는 민족귀속성 문제로부터 자유롭지 못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race attribution of Whag Je is not the issue in ancient China but the present issue. Sima Qian made aWhag Je their progenitor as describing the history of the Han. However, Whag Je in the primary historical records of China was definitely from Eastern barbarians and then, his descendants were Eastern barbarians. Shao Hao, the famous Eastern barbarian, is the son of Whag Je. Since Shao Hao is the very famous Eastern barbarian, Sima Qian couldn’t change his race to the Han. Thus, Sima Qian deleted Shao Hao and made Whag Je the progenitor of the Han. It means that Sima Qian knew Whag Je was the Eastern barbarian.
The concern of Sima Qian still continues up to now. The progenitor of the Han is the emperor but his descendants are Eastern barbarians. The studies on the origin of Huaxia tribe in these days are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Whag Je and Eastern barbarians, his descendants. The approaches to explain are very diverse including establishment of connection, embracement of ascendants and mandate. Such methods create the dogma that Whag Je is the progenitor of the Han and try to explain the reason why his descendants are Eastern barbarians.
The problem is the origin of the Han because there is no way to explain the origin of the Han without mentioning about the race attribution of Whag Je. It is clearly identified from the fact that there is no clear explanation on the origin of Huaxia up to now while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Sima Qian. As long as the primary historical records exist, China couldn’t solve the issue of race attribution that Whag Je is the Eastern barbaria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한족의 기원에 관한 사마천의 고민
3. 황제의 민족귀속성을 말해주는 후손들
4. 황제 후손의 민족귀속성과 현재 중국의 고민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