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이용수 63
- 영문명
- Analysis of Thinking Skills in Report Writing Textbooks: for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양태영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307~33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1세기에 요구되는 핵심능력인 사고력이 외국인 대학생의 보고서 쓰기교재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외국인 대학생 보고서쓰기 교재 4종의 질문과 지시문을 분석한 결과 사실적 사고, 추론적 사고, 분석적 사고,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의 다섯 가지 사고력이 나타났다. 모든 교재에서 추론적 사고가 가장 많이(32.9%) 나타났고 분석적 사고(25.7%), 창의적 사고(17.3%), 사실적 사고(15.7%), 비판적 사고(8.4%)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재별 차이는 있으나 사고력이 비슷한 분포로 나타나서 비슷한 유형의 사고력을 교수-학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논리적 사고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선행 연구에서 외국인 교재에서 창의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많았는데, 한국인 교재와 비교하지 않아서 구체적으로 밝히기는 어렵지만 창의적 사고뿐만 아니라 논리적 사고도 부족했다. 비판적, 분석적, 논리적 사고력에 대한 면밀한 고려가 더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thinking ability, a core ability required in the 21st century, is promoted in foreign college students’ report writing textbooks. Analysis the questions and instructions of four foreign college student report writing textbooks in this study identified five thinking skills: factual thinking, reasoning thinking, analytical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In all textbooks, inferential thinking was the most common (32.9%), followed by analytical (25.7%), creative (17.3%), factual (15.7%), and critical(8.4%).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each textbook, but the treatment of thinking ability was found to be similar and similar types of thinking skills were taught.
In addition, many studies have criticized textbooks as lacking creativity, but they were not compared to Korean textbooks, and failed to examine logical thinking. Therefore, more careful consideration of critical, analytical, and logical thinking skills as well as creative thinking is needed in these textbook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교재 분석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