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이용수 258
- 영문명
- The Implementation of Mediation Activities in Textbooks for Korean Learners: Focusing on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Thai Learners of Korea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예나 박경남 황윤정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2호, 13~3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발간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역사 읽기 교재에서 구현된텍스트 매개하기 활동을 소개하고 한국어교육 교수 학습 현장에서의 매개 활동 적용 및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의 언어 기술 영역및 주제 특성에서 기인하는 학습자의 인지적 어려움을 매개 활동으로 완충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읽기’라는 영역과 ‘역사’라는 주제 영역과의 연계성을 높일수 있는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에 집중하여 매개 활동을 살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매개 활동에 기반한 교재 설계에서 나아가 텍스트 매개하기의 하위 활동 각각의 예를들어 각각의 활동의 특성과 한국어 수업에서의 적용에 대한 논의를 펼쳤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교육과정으로 막연히 제시되었던 매개라는 개념과 활동을 교수 학습 현장에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utlines the mediation activities implemented in a recently published history textbook for Thai learners of Korean. It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d applying mediation activities in teaching and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learners’ cognitive difficulties caused by language barriers and the subject characteristics of the text could be addressed through mediation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a text”, which can increase the connection between “reading” and the subject, in this case, “history.” Moreover, this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ctivity for “mediating a text” and its applic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es, with examples of each sub-activity beyond the textbook desig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builds on the concept of mediation, which was only vaguely presented in a curriculum, and suggests specific activities applicable to teaching and learning.
목차
1. 서론
2. 매개의 개념과 영역
3. 한국어 역사 읽기 교재에서의 매개 활동 구현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술 보고서 쓰기과정에서 능숙한 대학생 필자의 자기조절 쓰기전략 활용경험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교방해체기 기생 예술의 정체성 연구
-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 [서평] 디지털 시대, 웹소설로 인문학 톺아보기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
- 《사기》로 보는 황제의 민족귀속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 분석 및 비교·대조 연구
- 장년 필자의 쓰기 신념이 자전적 텍스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후 문인 증언 수기집의 기억 재현 양상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활동 연구
- [서평] AI시대, 생명과 정동
- 손창섭 소설 속에 나타나는 사건의 중심으로서의 주거 공간 의미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에서의 텍스트 매개하기 활동 구현
- 구어체적 글쓰기와 그 문제점
-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대상 문화 리터러시 기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직업계고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서평] 웹소설 창작은 글쓰기의 기본에서 출발한다
- 테크니컬 라이팅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연구
- 리터러시 연구 14권 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