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융합적 관점에 기초한 초등사회과 해양교류교육의 실행 방안 탐색
이용수 151
- 영문명
- Exploration of implementation plans for Marine Exchange Education Bsed on Multicultural and Convergent Perspective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하인 노희정 홍기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619~63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갈수록 증가하는 해양교류의 시대적 상황에서 초등사회과에서 해양교류교육이 부족하다는 인식에 따라 초등사회과에서 해양교류교육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이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해양교류를 여러 나라들과 전개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가 해양교류를 어떻게 전개해왔는지를 여러 가지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에게 제시하기 쉬운 내용은 무엇인지를 찾아보았다. 또한 현재 초등사회과교과서에서 제시된 해양교류 부분을 분석하여 보고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현재 초등사회과 교과서에서 해양교류와 관련된 내용은 전무하다. 교과서에서는 해양을 바다라는 지형과 동일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바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모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를 통해서는 학생들이 해양교류의 중요성과 의미를 찾아볼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역사적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해양 윤리적 관점, 다문화 관점, 융합적 사고력의 함양, 지역정체성 인식이라는 관점으로 초등사회과에서 해양교류교육의 구체적인 단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해양교류교육의 구체적인 단계와 방법을 국제교류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여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세계화에 따라 해양교류는 갈수록 증가한다. 이에 따라 초등사회과에서는 교과서에 적극적으로 해양교류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해양교류교육이 무엇인지,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를 모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해양교류교육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실천단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결과에 맞추어 실제 실천한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초등사회과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이라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이에 대한 보완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presented the necessity and specific action plans for maritime exchan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that marine exchange education is insufficien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the era of increasing marine exchange. Methods Since Korea has three sides of the sea, it has been developing maritime exchanges with various countries for a long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how Korea has developed maritime exchang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was examined through various literature. In this process, I looked for what is easy to presen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maritime exchange section presented in the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was analyzed and problems and alternatives were presented. Results Currently, there is no content related to marine exchang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textbook identifies the ocean with the topography of the sea. Accordingly, the focus is on the lifestyle of people living in the sea. Through this, students cannot find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marine exchange. Accordingly, the specific steps and methods of marine exchang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wer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marine ethics, multicultural perspective, convergent thinking ability cultivation, and recognition of regional identity in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specific steps and methods of marine exchange education presented were presented and generalized by presenting cases of applying them to international exchange classes. Conclusions With globalization, maritime exchanges are increasing. Accordingly, elementary social studies departments should actively include contents related to marine exchange education in textbooks. However, the field does not know what marine exchange education is and how to practice i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marine exchange education and specific practical steps were presented.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generalize by showing actual practice cas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t is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is the first attempt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and we hope that complementary research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초등사회과에서 해양교류교육의 실행 방향
Ⅳ. 초등사회과 해양교류수업의 실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총론과 각론의 연계 관점에서 2015 개정과 2022 개정 각론 개발 지침 비교·분석 및 시사점 고찰
- 다문화·융합적 관점에 기초한 초등사회과 해양교류교육의 실행 방안 탐색
-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 TBL 현장중심 유아동작 교과의 효과성 연구
- COVID-19 이후 미용 전공 교수자들의 경험에 따른 온라인 미용 교육의 필요요소와 전망
- 중학생의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U&I활용 부모-자녀 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초등 문법교육에서의 시간 표현 교육 내용 연구
- 초등학교 영어과 게임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청년 니트(NEET)의 취업스트레스와 구직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취업모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무기력 성향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또래학습 기반 소프트웨어 수업설계의 효과
-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에 대한 부모의 양육행동, 애착, 수업이해도의 동시 및 지연효과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칭찬리더십과 행복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방법 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연구
-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방관행동, 친가해행동간의 관계
- 학습 내용 정리 전략이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불교설화를 활용한 유아문화예술교육과 문제중심학습(PBL)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 육아휴직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2000년~2021년)
- 전통놀이를 통한 창의인성활동이 유아 놀이성과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교사와 초등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 Sternberg의 성공지능 이론과 연계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
- KSL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linguistic resources and activities in and out of the classroom
- 2022 음악과 교육과정 교과역량과 성취기준 재구성에 따른 중학교 블렌디드 감상수업 연구
- 원의 넓이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이해 분석
- 당뇨병 환자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직업상담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문해환경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Using YouTube
-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에 대한 통사·의미적 분석
- 한국판 시뮬레이션 디브리핑 평가 도구(K-DASH)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 간호전문학사 소지자의 의료인력학사학위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프로티언 커리어 관점으로 본 전·현직 중등교사의 이직 경험
- 부모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의존도, 공격성, 삶의 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놀이지도 대학전공교재 분석
- 그림책 연계 점토놀이로 나타나는 영아의 정서지능 반응
-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중심 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 대상 문화적 공감 프로그램의 효과성
- 초등 사회과교육에서의 K-평균 군집화 알고리즘 기반 수업의 효과성
- 정보 시각화 디자인을 통한 고전 문학 교수-학습효과 증진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5호 목차
- 골프 라운딩 과정에서 주목한 측면에 관한 셀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