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육아휴직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2000년~2021년)

이용수 216

영문명
Trends of Domestic Research Studies on Parental Leave(2000-2021)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장은영 이종연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417~44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15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아휴직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21년까지 육아휴직에 관해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발표된 100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이 논문들의 발행 연도, 출처, 학문 분야, 연구 주제, 연구 참여자의 인적 사항(성별과 직업), 연구방법 유형, 자료 수집 및 자료분석 방법, 관련 변인별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아휴직에 관한 연구는 연도별로 2011년~2015년 동안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6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처별로는 학술지와 학위논문이 비슷한 비율이었다. 셋째, 학문 분야별로는 사회복지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넷째, 연구주제별로는 육아휴직 제도의 활용 용이성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육아휴직에 관한 연구 참여자의 인적 사항을 분석한 결과, 성별로는 여성이 약간 더 큰 비율을 차지했고, 직업별로는 한 가지 직업에 관한 연구보다 직업 구분 없이 다양한 직업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여섯째, 육아휴직의 연구방법 유형별로는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보다 약간 더 많이 이루어졌다. 일곱째,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양적 연구의 경우, 설문조사 방법이 반 이상을 차지했고, 질적 연구의 경우 면담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여덟째, 자료분석 방법의 경우, 양적 연구는 혼합 분석이, 질적 연구는 사례 분석이 가장 많았다. 아홉째, 육아휴직에 관한 연구에서 어떤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이 사용되었는지 동향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을 독립 변인으로 정하여 육아휴직과의 관련성을 알아본 연구들, 그리고 제도 특성을 종속 변인으로 정하여 육아휴직과의 관련성을 알아본 연구들이 가장 많았다. 결론 이러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육아휴직에 대한 국내 연구의 추후 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studies on parental leave. Method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100 journal articles and dissertations on parental leave published from 2000 to 2021, and then analyzed them focusing on the published year, source, academic field, research theme, research participants’ personal information(gender and occupation), types of research methods,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method, and relevant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tudies on parental leave started to increase in 2011- 2015, and then have increased largely since 2016. Second, both journal articles and dissertations showed the similar percentages. Third, the most researches were found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mong journal articles. Fourth, there were lots of research studies on the ease of use of the parental leave system. Fifth,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re were research studies with women more than those with men, and, there were research studies with various occupations more than those with a single occupation without separating occupations. Sixth, there were quantitative research studies a bit more than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as a research method. Seventh, the survey took up more than half of quantitative research studies while the interview method was the most used for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Eighth, In case of data analysis method, the quantitative researches used the most mixed analysis while the qualitative researches used the most case analysis. Ninth, in case of independent variables, there were the most research studies on the relation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while in case of dependent variables, there were the most researches on the relation with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se main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the further direction of domestic researches on parental leav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은영,이종연. (2023).육아휴직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2000년~2021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5), 417-441

MLA

장은영,이종연. "육아휴직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2000년~2021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5(2023): 417-4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