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U&I활용 부모-자녀 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260
- 영문명
- Developing a Parents-Children 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U&I to Improve Learning Strategy for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엄기란 조용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479~4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U&I활용 부모-자녀 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구안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프로그램 구안은 프로그램 개발 모형인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라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절차를 거쳐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적용하고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분석을 위해 김동일(2005)이 개발한 학습전략 측정 도구를 활용하였다. 결과 우선, 프로그램 구안을 위해, 요구조사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 구안방향을 설정하였다. 그런 다음,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회기별 목표와 활동내용 그리고 프로그램의 운영전략을 구안하고, 전문가로부터의 타당화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의 학습전략 전체 점수와 모든 하위요인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자녀와 부모에 대한 인터뷰 분석결과, 자녀는 자기이해를 통해 스스로에게 적합한 학습전략을 세워 실천할 수 있었고, 부모는 자녀의 학습전략을 파악하여 이를 긍정적인 학습지원으로 연계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학습전략 향상을 위해 U&I학습유형검사를 활용하여 학생 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학습전략을 유도하고, 부모와 자녀를 직접 연계함으로써 자녀의 학습전략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부모지원을 확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a parent-child-linked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U&I to improve learning strateg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The program design was devised through the procedure of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 execution →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ADDIE model, which is a program development model. Next,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o analyze the effect. For the analysis of program effects, a learning strategy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Kim Dong-il (2005) was used. Results First, for program planning, the direction of program planning was set through a request survey and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n, the purpose and goal of the program were set. Next, the goal of each session of the program, the contents of the activity, and the operation strategy of the program were devised, and the final program was completed through the validation process from expert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overall score of the learning strateg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score of all sub-fact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analysis of children and parents,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were able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learning strategy suitable for themselves through self-understanding, and parents were able to identify their children's learning strategy and link it to positive learning support. Conclusion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overall score of the learning strateg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score of all sub-fact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analysis of children and parents,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were able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learning strategy suitable for themselves through self-understanding, and parents were able to identify their children's learning strategy and link it to positive learning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프로그램 구안
Ⅴ. 프로그램 효과검증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총론과 각론의 연계 관점에서 2015 개정과 2022 개정 각론 개발 지침 비교·분석 및 시사점 고찰
- 다문화·융합적 관점에 기초한 초등사회과 해양교류교육의 실행 방안 탐색
-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 TBL 현장중심 유아동작 교과의 효과성 연구
- COVID-19 이후 미용 전공 교수자들의 경험에 따른 온라인 미용 교육의 필요요소와 전망
- 중학생의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U&I활용 부모-자녀 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초등 문법교육에서의 시간 표현 교육 내용 연구
- 초등학교 영어과 게임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청년 니트(NEET)의 취업스트레스와 구직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취업모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무기력 성향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또래학습 기반 소프트웨어 수업설계의 효과
-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에 대한 부모의 양육행동, 애착, 수업이해도의 동시 및 지연효과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칭찬리더십과 행복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방법 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연구
-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방관행동, 친가해행동간의 관계
- 학습 내용 정리 전략이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불교설화를 활용한 유아문화예술교육과 문제중심학습(PBL)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 육아휴직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2000년~2021년)
- 전통놀이를 통한 창의인성활동이 유아 놀이성과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교사와 초등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 Sternberg의 성공지능 이론과 연계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
- KSL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linguistic resources and activities in and out of the classroom
- 2022 음악과 교육과정 교과역량과 성취기준 재구성에 따른 중학교 블렌디드 감상수업 연구
- 원의 넓이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이해 분석
- 당뇨병 환자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직업상담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문해환경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Using YouTube
-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에 대한 통사·의미적 분석
- 한국판 시뮬레이션 디브리핑 평가 도구(K-DASH)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 간호전문학사 소지자의 의료인력학사학위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프로티언 커리어 관점으로 본 전·현직 중등교사의 이직 경험
- 부모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의존도, 공격성, 삶의 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놀이지도 대학전공교재 분석
- 그림책 연계 점토놀이로 나타나는 영아의 정서지능 반응
-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중심 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 대상 문화적 공감 프로그램의 효과성
- 초등 사회과교육에서의 K-평균 군집화 알고리즘 기반 수업의 효과성
- 정보 시각화 디자인을 통한 고전 문학 교수-학습효과 증진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5호 목차
- 골프 라운딩 과정에서 주목한 측면에 관한 셀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