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에 대한 통사·의미적 분석
이용수 207
- 영문명
- A Syntactic & Semantic Analysis on ‘ida’ sentence with the meaning of ‘existence’ in Korea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Zhang Le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49~5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실제 말뭉치 자료를 기반하여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 용례를 찾아 그 구조적 및 의미적 특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방법 첫째, 21세기 세종 말뭉치 및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현대한국어 용례 등 실제 말뭉치 자료에 기반하여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 용례를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의 구조 유형을 분류하였고 각 유형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다. 셋째, ‘있다’ 존재문과 비교함으로써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의 NP가 지닌 의미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주관성 이론을 활용하여 ‘이다’ 구문의 원형의미에서 출발하여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의 NP가 지닌 의미특성에 대해 해석하고자 하였다. 결과 우선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의 기본 구조는 ‘NPL+NP+이다’이고 구체적인 구조 형식은 세 가지 유형으로 귀납하였다. 또한 NPL 자리에는 구체적인 처소나 추상적인 처소가 가능하고 그 자리가 비어 있는 경우도 있다. NP 자리에는 구체적인 유생의 사람과 무생의 물건이 나올 수 있고 그 외에 사건 및 추상적인 사유활동과 정서도 자리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을 ‘있다’ 존재문으로 교체하여 어떤 의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의 NP가 [+전량], [+유일성], [+현저성]이라는 의미특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화자가 주관적으로 NPL과 NP가 동일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의미특성이 드러나는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처음으로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의 구조적 및 의미적 특성을 다루었다. 많이 부족하겠지만 한국어 계사구문의 의미 양상 및 한국어 ‘존재’ 의미 범주를 연구하는 데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it aims to identify the ‘ida’ sentence with the meaning of ‘existence’ and to explore their structural and semantic features based on the actual corpus. Methods Firstly, using actual corpus data such as the Sejong Corpus and the SJ-RIKS Corpus, we retrieved use instances of the ‘ida’ sentence with the meaning of ‘existence’; Secondly, analyzed the structural types and constituent elements of the ‘ida’ sentence with the meaning of ‘existence’; Thirdly,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NP of the ‘ida’ sentence with the meaning of ‘existence’ are examined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itta’ existence sentence; Finally, based on subjective theory and starting from the prototypical meaning of the ‘ita’ sentence, an explanation of the semantic features is offered.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Firstly, the basic structure of the ‘ida’ sentence with the meaning of ‘existence’ is ‘NPL+NP+ida’ and the sentence structure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types. Among them, there can be concrete and abstract places in the NPL position, and there are also vacancies. In the NP position, not only can there be specific living people or inanimate objects, but events and abstract thinking activities and emotions can appear as well; Secondly, by replacing ‘ida’ sentence with the meaning of ‘existence’ with the ‘itta’ existence sentence, it is concluded that the NP of the ‘ida’ sentence with the meaning of ‘existence’ has the features of [+sufficiency], [+uniqueness], and [+prominence]; Thirdly, the motivation behind the ‘ida’ sentence with the meaning of ‘existence’ with the above semantic features is that the speaker's subjective view that NPL and NP is equivalent identity.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and semantic features of the ‘ida’ sentence with the meaning of ‘existence’. Although there are many shortcomings, I believe that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semantic study of copular sentences and the semantic category of Korean ‘existence’.
목차
Ⅰ. 서론
Ⅱ.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의 구조 유형 및 구성 요소
Ⅲ.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의 의미특성
Ⅳ.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의 의미특성에 대한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총론과 각론의 연계 관점에서 2015 개정과 2022 개정 각론 개발 지침 비교·분석 및 시사점 고찰
- 다문화·융합적 관점에 기초한 초등사회과 해양교류교육의 실행 방안 탐색
-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 TBL 현장중심 유아동작 교과의 효과성 연구
- COVID-19 이후 미용 전공 교수자들의 경험에 따른 온라인 미용 교육의 필요요소와 전망
- 중학생의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U&I활용 부모-자녀 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초등 문법교육에서의 시간 표현 교육 내용 연구
- 초등학교 영어과 게임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청년 니트(NEET)의 취업스트레스와 구직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취업모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무기력 성향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또래학습 기반 소프트웨어 수업설계의 효과
-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에 대한 부모의 양육행동, 애착, 수업이해도의 동시 및 지연효과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칭찬리더십과 행복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육방법 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연구
-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방관행동, 친가해행동간의 관계
- 학습 내용 정리 전략이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불교설화를 활용한 유아문화예술교육과 문제중심학습(PBL)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 육아휴직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2000년~2021년)
- 전통놀이를 통한 창의인성활동이 유아 놀이성과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교사와 초등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 Sternberg의 성공지능 이론과 연계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
- KSL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linguistic resources and activities in and out of the classroom
- 2022 음악과 교육과정 교과역량과 성취기준 재구성에 따른 중학교 블렌디드 감상수업 연구
- 원의 넓이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이해 분석
- 당뇨병 환자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직업상담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문해환경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Using YouTube
- ‘존재’ 의미를 나타내는 ‘이다’ 구문에 대한 통사·의미적 분석
- 한국판 시뮬레이션 디브리핑 평가 도구(K-DASH)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 간호전문학사 소지자의 의료인력학사학위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프로티언 커리어 관점으로 본 전·현직 중등교사의 이직 경험
- 부모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의존도, 공격성, 삶의 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놀이지도 대학전공교재 분석
- 그림책 연계 점토놀이로 나타나는 영아의 정서지능 반응
-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중심 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 대상 문화적 공감 프로그램의 효과성
- 초등 사회과교육에서의 K-평균 군집화 알고리즘 기반 수업의 효과성
- 정보 시각화 디자인을 통한 고전 문학 교수-학습효과 증진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5호 목차
- 골프 라운딩 과정에서 주목한 측면에 관한 셀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논총 제39집 목차
- 재한 중국 유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학생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