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진로 장벽의 영향요인

이용수 722

영문명
Influencing Factors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tudy Using the Smart PLS-SEM Approach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동욱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9호, 631~64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15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진로장벽의 영향요인을 알아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세부 목표로는 1) 부모지지, 교우관계, 교사관계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2) 부모지지, 교우관계, 교사관계와 진로장벽인식 간의 관계, 3) 자아존중감과 진로장벽인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 중 9차(2019년) 자료인 고등학교 3학년 다문화청소년 1,146명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SPSS 2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진로장벽인식의 영향요인의 분석을 위해서는 Smart PLS의 부분최소제곱(Partial Least Square, PLS) 기반 구조방정식모델링분석(PLS-SEM)을 이용하였다. PLS-SEM의 모델평가를 위해 내적 일관성 신뢰도,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고, 다중공선성(VIF), 수정된 R2, 효과크기(f2), 예측적 적합성(Q2), 경로계수의 크기, 유의성 검정을 통해 구조모델에 대한 평가와 가설 검정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지지는 진로장벽인식에 직접 영향을 나타내지는 못하였지만,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장벽인식에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우관계는 진로장벽인식에 직접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장벽에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교사관계는 진로장벽인식에 직접 영향을 나타내지는 못하였지만,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장벽인식에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해 자아존중감은 부모, 교우, 교사 관계와 진로장벽인식 간의 관계에서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부모, 교우, 교사 관계는 자아존중감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of high school-age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detailed goals are 1)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2)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and 3) self-esteem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Method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for 1,146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eir third year of high school, which is the 9th wave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PLS-SEM) based on partial least squares (PLS) was used. For model evaluation of PLS-SEM,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checked. For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hypothesis testing, multicollinearity (VIF), adjusted R2, effect size (f2), predictive relevance (Q2),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checked. Results First, although parental suppor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it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by using self-esteem as a mediating effect. Second, friend relationship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and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with self-esteem as a mediating effect. Third, teacher relationship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but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using self-esteem as a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friend, teacher relationship and career barrier perception, and parental, friend, and teacher relationship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욱. (2022).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진로 장벽의 영향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9), 631-643

MLA

이동욱.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진로 장벽의 영향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9(2022): 631-6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