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계열성 강화를 위한 Schwab의 실제적 접근 적용 가능성 탐색 연구
이용수 16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chwab's ‘the practical’ Approach to Reinforce the Sequence of the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9호, 385~40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관련 문제에 대해 실제적인 접근을 통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Schwab의 실제적 접근 모형을 바탕으로, 역량기반 교양 교육과정 편제의 계열성 확보 방안을 탐색하였다. 방법 Schwab의 실제적 접근은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탐구하는 실제적 기예와 이론이나 모형을 기반으로 탐구하는 절충적 기예로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타 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개발 사례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편제상의 계열성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었다. 둘째, Schwab의 절충적 기예로서, Tyler, Taba, Wiggins & McTighe의 이론 및 모형을 통해 구체적인 계열성 확보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분석한 사시점들을 실제 대학 사례에 직접 적용해봄으로써 시사점들을 보다 정교화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에서 교육목표, 교육영역을 추출하기, 둘째, 학년별 수준 차이를 A(습득), O(조직), T(전이)를 기준으로 설정하기, 셋째, 교육목표에서 A(습득), O(조직), T(전이) 수준을 고려하여 학년별 교육목표 설정하기, 넷째, 설정된 학년별 교육목표를 기준으로 핵심역량의 하위역량 중 연관성 있는 하위역량을 배분하기, 다섯째, 학년별 교육목표와 배분된 학년별 하위역량에서 Big idea 추출하기, 여섯째, 학년별 교육목표, 학년별 하위역량, 학년별 Big idea에 부합하는 교과목 배정하기, 일곱째, 학년별 Big idea를 교육하기 위한 교과목별 Big idea 설정하기, 여덟째, 교과목별 Big idea를 평가하기 위한 구체적인 평가방안 설정하기, 아홉째, 교과목을 개발하는 공통된 절차를 추출하여 교과목마다 공통적으로 적용하기, 열째, 교과목을 구성하는 필수요소(Big idea와 Big idea 평가방안)를 추출하여 교과목마다 공통적으로 적용하기이다. 결론 교육과정 개발 이론을 대학 실제 사례에 직접 적용해봄으로써 교양 교육과정 계열성 향상을 위한 소정의 방안들을 도출하였다. 보다 정교한 방안을 얻기 위해 실제적 기예를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explored ways to improve sequence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organization based on the Schwab's ‘the practical’ approach model. Methods In this study, first,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on the cases at other universities. Second, the theories of Tyler, Taba, Wiggins & McTighe were analyzed. Third, the implications were elaborated by directly applying the analyzed perspectives to actual university cases. Resul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 extract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areas from core competencies, second, to set the level difference by grade based on A(acquisition), O(organization), and T(transfer), third, setting educational goals for each grade by considering the A(acquisition), O(organization), and T(transfer) levels in the educational goals, fourth, allocating related sub-competences among the sub-competencies of the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 educational goals for each grade level, fifth, extracting big ideas from the educational goals for each grade level and the allocated sub-competence for each grade level, sixth, allocating subjects that match educational goals for each grade level, sub-competence for each grade and the big ideas for each grade, seventh, setting the big ideas for each subject to educate the big ideas for each grade, eighth, setting specific evaluation methods to evaluate the big ideas for each subject, ninth, extract the common procedure for developing subjects and commonly apply them to each subject, tenth, extract the essential elements (big idea and big idea evaluation method) constituting the subject and apply it in common to each subject. Conclusions By directly applying the theory of curriculum development to actual university cases, certain measures were drawn to improve the sequencing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 follow-up study through practical art is needed to obtain a more sophisticated metho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기술교과 교구⋅설비 기준 개발 연구
-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가 순회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9호 목차
- 지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전 설계도
- 유자녀 초등 여교사의 역할긴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창작동요제 수상곡의 양상 분석 연구
-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의 팔로워십이 학생참여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강의평가 결과 요인을 바탕으로 한 퍼소나 개발 연구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전성어미 사용 오류 연구
- 초등학교 특수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신장을 위한 그림책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영아 관련 질적연구 동향 분석
- 고혈압 환자의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중심 수업실연 경험에 대한 탐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사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NOS) 반영 정도 분석
- 유아 자조기술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소규모 어린이집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유아중심놀이 실행에서의 경험적 의미 탐색
- 30대 기혼 여성 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애플리케이션 기반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애플리케이션 활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진로탄력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 인공지능 융합교육 관심도에 기반한 교육대학원 사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 신체놀이와 쌓기놀이가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사회성,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부모공감과 초등학생의 자기결정학습동기의 관계에서 부모 양육태도와 기본심리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 중등학교 통합교육 상황에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역할에 대한 요구도 분석
- COVID-19 상황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증진을 위한 웹 공유문서를 활용한 온라인 소그룹 수업 경험 분석
- 보육교사의 잡크래프팅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원이 학령기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삶 만족도와 어머니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문화적응 스트레스 간 종단 분석
- 코로나19 상황의 원격수업에서 동영상 매체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
- 다문화 아동문학을 활용한 초등영어와 다문화의 통합 교육
- 대학생의 회복 탄력성 향상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심리치유의 융합적 방법론(RDTP) 탐색 연구
- 중학교 국어교과서 수록 설명문 및 서사문의 어휘 밀도 분석
- 어느 특수교사의 졸업생 사후관리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COVID-19 상황에서 온라인실습교육과 임상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중학교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교육 활동 요인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로봇 활용 교육’ 단원 교과서 삽화 분석
- 관심경제시대에 자기주도적인 삶을 위한 루틴(Routine)의 계발 방안에 관한 연구
-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계열성 강화를 위한 Schwab의 실제적 접근 적용 가능성 탐색 연구
- 하브루타 기반 수업을 통한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공감능력, 타인수용 변화
- 아일랜드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JC)의 특징과 시사점 고찰
- 장애아동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인권향상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청소년의 메타버스 이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지역사회 노인 대상 마음챙김 명상 중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과정드라마(Process Drama)를 활용한 초등영어 교육방안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다문화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적용과 효과성
-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는 한 중학교 교사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브릿징 평가 현장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실천지식 변화
-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진로 장벽의 영향요인
- 긍정심리학 기반 유아교사의 감정노동 대처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치원 원감이 지각한 직무만족도, 교직전문성 인식,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원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간호학 교내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핵심간호역량 및 감염관리 인지도에 미치는 효과
- 마을교육공동체가 청소년의 학습과 성장에 주는 의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주제 Ⅲ: 그림책 연구> 존 버닝햄의 『지각 대장 존』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 <주제 Ⅱ: 놀이 및 프로그램> 자연친화놀이 후, 자연물을 활용한 조형활동 이야기 영유아혼합연령 탐구반을 중심으로
- <주제 Ⅲ: 그림책 연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그림책 읽어주는 부모참여 프로그램의 경험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