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가 순회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

이용수 357

영문명
Th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of Beginning Teachers Working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Itinerant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수민 홍재영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9호, 253~27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서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초임교사들이 순회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눈덩이(snowball) 표집을 통하여 전라북도 소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5명의 초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순회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임교사들의 경험을 면밀히 들여다보기 위해 ‘순회교육 운영 실태’, ‘순회교육 실시에 대한 어려움’, ‘순회교육에 대한 지원요구’에 대한 3가지 영역과 12개의 내용 요소를 포함한 반구조화된 형식의 면담 목록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반구조화된 면담 목록을 통해 질적연구 방법인 심층 면담을 1-2회기 진행하였고, 수집한 면담 자료는 전사, 코딩, 의미 생성 과정인 3차 코딩 과정을 거쳐 귀납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초임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상위범주 4개와 하위범주 13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상위범주는 ‘부족한 전문성’으로 초임교사는 순회교육 활동계획 수립, 수업, 문제행동 중재 등과 같은 교사의 전문성 부족을 인식하였다, 둘째 상위범주는 ‘관계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으로 초임교사는 순회교육 과정에서 통합교사, 보호자, 학생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셋째 상위범주는 ‘척박한 자기 계발의 길’로 순회교육를 위한 연수나 인적 자원에 한계가 있었다. 넷째 상위범주는 ‘열악한 환경 및 행⋅재정적 지원’으로 순회교육의 환경적 부분과 행⋅재정적 지원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초임교사들의 지원요구는 3개의 상위범주와 6개의 하위범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첫째 상위범주는 ‘성장하는 교사’로 연수, 전문적 학습공동체 등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였다. 둘째 상위범주는 ‘협력과 소통이 있는 학교’이다. 초임교사는 통합교사, 학부모와의 협력 및 소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상위범주는 ‘효과적인 행⋅재정적 지원’으로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초임교사들의 순회교육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과 초임교사가 전문성 있는 순회교사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alitative study and deeply examine th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experienced by beginning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during itinerant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snowball sampling was conducted to target 5 beginning teacher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Jeollabuk-do Province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intended to closely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beginning teachers that implement itinerant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o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developed with 3 domains and 12 components about the ‘operation status of itinerant education,’ ‘challenges of itinerant education,’ and ‘support needs for itinerant education.’ Based on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1-2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 which is a qualitative study,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inductive analysis through the three coding processes that consisted of transcription, coding, and meaning generation. Results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struggles of the beginning teachers can be classified into 4 upper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The first upper category is ‘a lack of expertise’ and recognized the lack of expertise as a teacher such as establishing itinerant education activity plans, classes, and interventions for behavior problems. The second upper category is ‘psychological conflicts from relationships’ and beginning teachers experienced challeng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inclusive teachers, guardians, and the students during the itinerant education. The third upper category was the ‘barren road for self-development’ as there were limits in the training for itinerant education or human resource. The fourth upper category is the ‘poor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and there were insufficient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itinerant education and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The support needs of the beginning teachers can be categorized into 3 upper categories and 6 sub-categories. The first upper category is for ‘teachers to develop’ through efforts for the growth of teachers' expertise such as training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second upper category is ‘a school that collaborates and communicates.’ The beginning teachers emphasized the need to cooperate and communicate with the inclusive teachers and the school parents. The third upper category is ‘effective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as there were demands of appropriate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to perform the duties effectively.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can be applied as the base data of policy support plans for the itinerant education of the beginning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also to examine the measures required for the beginning teachers to develop into professional itinerant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수민,홍재영. (2022).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가 순회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9), 253-272

MLA

조수민,홍재영.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가 순회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9(2022): 253-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