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체놀이와 쌓기놀이가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사회성,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이용수 556

영문명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hysical play and block play on young children's motor ability cognitive ability, sociality and spatial abil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진화 민가혜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9호, 199~21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놀이와 쌓기놀이가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사회성,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대상은 만 4세 반에 재원중인 유아 총 30명이었으며 평균월령은 57.76개월(SD=3.31)이었다.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를 무선으로 선정한 후 실험집단1에는 신체놀이를 실험집단2에는 쌓기놀이를 4주간 처치하였다. ‘운동능력척도(MPTYC)’, ‘K-WIPPSI-Ⅳ’, ‘Bronson의 사회과업 기술척도’, ‘유아그림수학능력 검사(공간능력)’ 검사 도구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으로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신체놀이 집단이 쌓기놀이 집단보다 운동능력, 사회성에서 유의미하게 증진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전체 인지능력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능력의 하위영역인 언어이해, 유동추론, 작업기억에서 신체놀이 집단이 쌓기놀이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공간능력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간능력의 하위영역인 도형에서 쌓기놀이 집단이 신체놀이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신체놀이가 쌓기놀이보다 운동능력, 사회성, 인지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공간능력은 쌓기놀이가 신체놀이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신체놀이와 쌓기놀이가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임을 밝히고, 특정 발달영역에 더욱 효과적인 놀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physical play and block play on young children’s motor ability, cognitive ability, sociality, and spatial ability. Methods Thirty young childr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s the subjects, and their average age was 57.76 (SD=3.31) months. Experimental group1 and experimental group2 were selected randomly. Experimental group1 was applied in physical play and Experimental group2 was applied in block play for 4weeks. ‘Motor Proficiency Test for Young Children,’ ‘K-WIPPSI-Ⅳ’, ‘The Bronson Social and Task Skill Profile’,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test(spatial ability)’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and t-test for analyzing them. Results As the results, the scores of the physical play group's motor activity and socia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block play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overall cognitive ability, but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play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block play group in verbal comprehension, fluid reasoning, and working memory, which are sub-area of cognitive 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overall spatial ability, but it was found that the block play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physical play group in the figure comprehension, a sub-area of the spatial 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hysical play was more effective than block play in enhancing motor ability, sociality, and cognitive ability. It was found that block play enhances children's spatial ability more effectively than physical play. This reveals that children's physical play and building play were positive for children's development, and suggests that there is more effective play in a specific developmental a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화,민가혜. (2022).신체놀이와 쌓기놀이가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사회성,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9), 199-216

MLA

정진화,민가혜. "신체놀이와 쌓기놀이가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사회성,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9(2022): 199-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