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느 특수교사의 졸업생 사후관리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186

영문명
Auto-Ethnography of Post-Management Service Experiences for Graduates from a Teacher in special-education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진식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9호, 817~83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의 졸업생 사후 관리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로 탐구함으로써 사후관리의 경험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사후관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문화기술지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자문화기술지는 나의 경험을 1인칭 주인공 및 관찰자 시점으로 바라보며 사회문화적 맥락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방법이다. 사후관리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개인내부자료, 면담자료, 참여관찰자료, 현지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 절차를 거쳐 해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내부자인 특수교사의 시선에서 사후관리 경험의 의미를 성찰하였다. 결과 첫째, 문서상으로만 이루어지는 사후관리의 문제점을 반성하고, 졸업생 사후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성찰하게 되었다. 둘째, 사후관리 체제 개선에 한계를 느꼈지만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한 사후관리 환경을 구축하고, 유관기관과 협력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셋째, 직장이 원하는 인재상이 될 수 있도록 고려하였고, 학생 개별 요구를 반영한 개별화된 사후관리를 실천하였다. 결론 나는 전공과 교사로서 사후관리가 졸업생의 직업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성찰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후관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시⋅도 교육청 차원의 지침 마련, 유관기관 협의체에서 사후관리에 대한 주기적인 논의, 사후관리의 범위를 삶의 전반으로 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ost-management service experiences for graduates among teachers in a post-secondary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in an auto-ethnographic inquiry, thus examining their post-management service experiences from multiple angles and searching for plans to vitalize their post-management service. Method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made an auto-ethnographic approach. Auto-ethnography is a methodology for researchers to look at their experiences in a first-person narrator and observer to understand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 collected personal internal data, interview data, participation observation data, and local data in order to explore the post-management service. The data were interpret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comprehensively analytical procedure based on the practical eclecticism. This study tried to reflect on meaning of the post-management service from the perspectives of a teacher as an insider. Results First, the subjects reflected on problems with their post-management service provided only in documents and had a self-examination into the need for post-management service for graduates; secondly, they felt their limitations with the improvement of the post-management service system, but they managed to establish a post-management service environment that was realistically feasible and search for ways to make a cooperative approach with concerned agencies; and finally, they took into consideration what kind of talents that corporations wanted and practiced individualized post-management service reflecting students' individual needs. Conclusions The investigator felt a need to continue post-management service for the successful job retention of graduates as a teacher in a post-secondary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ere should be efforts to prepare guidelines at the level of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have regular discussions about post-management service in a consultative group of concerned agencies, and expand the scope of post-management service throughout life so that post-management service can be vitalize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맥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식. (2022).어느 특수교사의 졸업생 사후관리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9), 817-836

MLA

정진식. "어느 특수교사의 졸업생 사후관리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9(2022): 817-8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