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반성적 탐구로서 쟁점 중심 사회과의 가능성과 과제

이용수 392

영문명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as a Reflective Inquiry: Pedagogical Approach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태성(Lee, Taes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8호, 601~6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반성적 탐구의 관점에서 쟁점 중심 사회과의 교수론적 의미를 밝히고, 새로운 탐구 논리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반성적 탐구 전통과 쟁점 중심 사회과 담론을 교차 검토하면서 교수론적 차원에서 내적 일관성을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반성적 탐구로서 쟁점 중심 사회과 담론의 교수론적 특징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동시에 쟁점 중심 사회과에 앞으로의 과제를 제안하며 새로운 담론화를 시도한다. 방법 Dewey의 이론을 고찰하여 반성적 탐구의 본질적 의미를 미시적, 거시적 차원으로 도출한다. 쟁점 중심 사회과 논의 중 Hunt와 Metcalf, Oliver와 Shaver의 논의를 음미하고, 교수론적 차원에서 그 특징을 각각 드러낸다. 앞에서 도출한 반성적 탐구의 분석틀에 터하여 쟁점 중심 사회과와 반성적 탐구의 교수론적 일관성을 검토한다. 검토 결과를 종합하고, 한국적 맥락을 참조하여 쟁점 중심 사회과의 새로운 과제를 제안한다. 결과 우선, 반성적 탐구의 의미 갈래는 두 차원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사고하는 방법으로서 의미인데, 이는 가치 딜레마에 대한 과학적 탐구를 지향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다른 하나는 문제 해결 방법으로서의 의미인데, 이는 민주주의 삶의 문제 해결을 뜻한다. 다음으로, 대표적인 쟁점 중심 사회과의 교수론으로서 Hunt와 Metcalf는 닫힌 영역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강조하고, Oliver와 Shaver는 법리적 유추를 통한 입장의 정교화를 강조하는 점에서 차별적인 특징이 있다. 이들의 논의를 종합하면, 쟁점 중심 사회과는 과학적 탐구를 지향한다는 것과 탐구를 통한 민주주의 실현을 염원한다는 점에서 Dewey의 반성적 탐구와의 교수론적 일관성이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한국적 맥락을 고찰하면서 쟁점 중심 사회과에 새로운 과제를 부여할 수 있다. 쟁점 이면에 있는 가치 체계의 이중적 구조를 분석하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으며, 쟁점의 다차원적인 순환 과정을 동적인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결론 쟁점 중심 사회과 담론은 Dewey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교수론적 차원에서 쟁점 중심 사회과의 탐구 논리와 Dewey의 반성적 탐구와의 교수론적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사회적 토대 앞에서 반성적 탐구와 쟁점 중심 사회과 모두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쟁점 중심 사회과에는 가치 딜레마를 둘러싼 이성과 감정을 조화롭게 다루는 법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edagogical meaning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reflective inquiry and to propose a new inquiry logic. To this end, the tradition of reflective inquiry and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discourse are cross-examined, and internal consistency is examined from the pedagogical level. In this process, as a reflective inquiry, the pedagogical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discourse are confirmed, and at the same time, it attempts to create a new discourse by suggesting future tasks to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Methods By examining Dewey s theory, the essential meaning of reflective inquiry is derived in micro and macro dimensions. Among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discourse, Hunt and Metcalf, Oliver and Shaver s ideas are examined,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in the pedagogical context. Based on the framework of reflective inquiry derived above, the consistency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and reflective inquiry is reviewed. The results of the review are combined, and a new task for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is proposed with reference to the Korean context. Results First, the semantic branch of reflective inquiry appears in two dimensions. One is the meaning as a way of thinking, which is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of the value dilemma. The other is the meaning as a problem-solving method, which means solving the problems of democratic life. Next, as for the pedag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Hunt and Metcalf emphasize reflective thinking on the closed areas, and Oliver and Shaver emphasize the elaboration of position through jurisprudential analogy. Combining these discussions,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is consistent with Dewey s reflective inquiry in that it aims for scientific inquiry and desires to realize democracy through inquiry. Finally, considering the Korean context, a new task can be given to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ual structure of the value system behind the issues, and to find a way to view the multidimensional circulation process of the issues from a dynamic perspective. Conclusions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discourse follows Dewey s tradition. In the pedagogical dimens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nsistency between the logic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and Dewey s reflective inquiry. However, both reflective inquiry and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face new challenges in a new social foundatio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still has the task of finding a way to deal with reason and emotion surrounding the value dilemma in harmony.

목차

Ⅰ. 서론
Ⅱ. 반성적 탐구의 의미 갈래
Ⅲ. 쟁점 중심 사회과에서 반성적 탐구의 적용 가능성
Ⅳ.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과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성(Lee, Taeseong). (2022).반성적 탐구로서 쟁점 중심 사회과의 가능성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8), 601-622

MLA

이태성(Lee, Taeseong). "반성적 탐구로서 쟁점 중심 사회과의 가능성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8(2022): 601-6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