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 및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성별 비교

이용수 821

영문명
The effects of job-person fit on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재영(Jae Young Lee) 홍소정(Sojung Hong) 이윤수(Yunsoo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2호, 295~30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취업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7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만 35세 미만의 청년 재직자 중에서 근로시간 형태가 전일제이고, 상용직 근로자라고 응답한 임금근로자 9,640명(여자 4,092명, 남자 5,54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업 적응 이론(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직무 적합성으로 적성, 교육수준, 기술수준과 현재 직무수준과의 일치 정도를 활용하였고, 추가적으로 주전공과 복수전공이 직무와 일치하는 정도도 고려하였다. 객관적 경력성공을 측정하기 위해 임금 데이터를 사용했고, 주관적 경력성공을 측정하기 위해 직무 만족도를 사용했다. 결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경로 분석 결과, 개인-직무 적합성은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다. 남여 집단 모두 적성 일치 정도가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고, 교육수준 일치 정도는 여자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기술수준 일치 정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남자 집단에서는 복수전공 일치 정도가 객관적 경력성공과, 주전공 일치 정도는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으나 여자 집단에서는 주전공 일치 정도가 객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 초기에 해당하는 청년 재직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경력성공의 관계, 남성과 여성의 차이에 대해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person fit and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youth employees. Methods Using the 2017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9,640 wage workers (4,092 women, 5,548 men)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and previous research, the present study utilized aptitude, education level, skill level, and major fit as job-person fit. Wage data were used to measure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job satisfaction was used to measure subjective career success. Results Multi-group path analysis showed that aptitude fit was related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both male and female groups while education level fit was associated with subjective career success only in the female group. Skill level f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in the male group, the double major fit was related to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 major fit was related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provid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e career development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영(Jae Young Lee),홍소정(Sojung Hong),이윤수(Yunsoo Lee). (2021).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 및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성별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2), 295-308

MLA

이재영(Jae Young Lee),홍소정(Sojung Hong),이윤수(Yunsoo Lee). "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 및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성별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2(2021): 295-3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