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기 오염물질 톨루엔의 미세먼지로 전환과 식물에 의한 저감 분석

이용수 123

영문명
Relational analysis of convert toluene into particulate matter(PM) and then reduction by plant
발행기관
인간식물환경학회
저자명
김광진(Kwang Jin Kim) 김종철(Jong Cheol Kim) 한승원(Seung Won Han) 정나라(Na Ra Jeong) 김우영(Woo Young Kim) 유수진(Soojin You)
간행물 정보
『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2020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36~236쪽, 전체 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19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공기 중에 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중 톨루엔 기체에 대해 입자성 물질인 미세먼지로 전환되는 비율과 식물에 의해 저감되는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초기 오염물질 농도는 톨루엔 1 ppm, 미세먼지 PM2.5를 약 200 ug/m3로 처리하였으며, UV 램프를 이용하여 톨루엔이 입자성물질로 전환하도록 유도하였다. 실험은 “미세먼지”, “미세먼지+VOC”, “미세먼지+식물”, “미세먼지+식물+VOC” 처리하였다. 그 결과 톨루엔의 미세먼지로의 전환율 10%이었다. 즉 PM2.5 저감량은 처리 6시간 후 “미세먼지” 처리구 99 ug/m3, “미세먼지+VOC”108 ug/m3으로 나타었다. 톨루엔 기체를 고체인 미세먼지로 전환 시킨 조건에서 식물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은 약 20%로 나타났다. “미세먼지+VOC” 처리구의 PM2.5 저감량은 95 ug/m3이었으며, “미세먼지+식물+VOC”는 114 ug/m3로 나타났다. 또한 “미세먼지” 처리구의 PM2.5 농도는 103 ug/m3이었으며, “미세먼지+식물”은 129 ug/m3으로 식물의 미세먼지 저감은 25%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식물” 처리에서 미세먼지 저감량이 가장 많았으며, “미세먼지+VOC”에서 가장 적었다. 각 처리구의 6시간 후 미세먼지 PM2.5 저감량은 “미세먼지” 103.4 ug/m3, “미세먼지+식물” 128.8 ug/m3, “미세먼지+VOC” 95 ug/m3, “미세먼지+식물+VOC” 114.4 ug/m3이었다. 본 실험 결과는 실내에 많이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얼마나 입자성 물질인 미세먼지로 전환되는지와 식물이 이러한 상황에서 어떤 패턴으로 저감에 기여 하는지 특성을 밝히고자 한 것으로 차후 기체에서 고체로 전화된 미세먼지의 경우 입자 크기가 적기 때문에 초초미세먼지(PM1.0)에 대해서도 연구가 요구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식물을 활용한 실내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번호: PJ01367702)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광진(Kwang Jin Kim),김종철(Jong Cheol Kim),한승원(Seung Won Han),정나라(Na Ra Jeong),김우영(Woo Young Kim),유수진(Soojin You). (2020).공기 오염물질 톨루엔의 미세먼지로 전환과 식물에 의한 저감 분석. 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 2020 (3), 236-236

MLA

김광진(Kwang Jin Kim),김종철(Jong Cheol Kim),한승원(Seung Won Han),정나라(Na Ra Jeong),김우영(Woo Young Kim),유수진(Soojin You). "공기 오염물질 톨루엔의 미세먼지로 전환과 식물에 의한 저감 분석." 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 2020.3(2020): 236-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