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국 국가핵심미술기준(NCAS in visual arts) 분석 및 비교

이용수 474

영문명
Analysis and Comparison of Korea s revised art curriculum in 2015 and National Core Art Standards in Visual Arts in the U.S. - Focusing on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performance) standards of middle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지현(Lee, Ji-Hy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7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0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국 국가핵심미술기준(National Core Arts Standards in visual arts) 분석 및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2019년 10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양국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고시된 문헌을 수집하여 한·미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 ‘내용 체계’와 ‘성취(수행)기준’을 분석하였으며, 성격이 유사한 구성 요소 간 횡적 분류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준거로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체계’는 한·미 교육과정 모두 예술적 아이디어를 학습자의 삶과 연결하여 창작하고 예술적 지식과 기능을 함양하며, 다양한 맥락으로 의미를 찾는 과정으로 공통된 구성을 보였으나, 미국은 우리나라에 다루지 않는 요소 ‘핵심질문(Essential questions)’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수행 가치와 의미를 찾고 이를 지속적인 탐구로 이끌어 동기 부여함으로써 미술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예술적 문해력(artistic literacy)을 함양하도록 하였다. 둘째, ‘성취(수행)기준’은 중학교 군으로 분류되어 상대적으로 포괄적인 학습 내용을 서술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구별되게 미국은 예술적 과정으로서 위계성과 계속성을 가지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심화된 학습 내용과 명료한 기준을 제시하였고, 예술적 지식, 기능과 더불어 ‘태도’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진술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과정 내용의 구체성과 위계성 제고에 따른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art curriculum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Korea s 2015 revised art curriculum and the National Core Arts Standards in the United States. Therefore, from November 2019 to April 2020, the two countries curricul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performance) standars of the art curriculum at the level of Korean and American middle schools, an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after classifying them horizontally between components with similar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both Korean and American curricula have shown similar plots to connect artistic ideas to the life of learners, foster artistic knowledge and functions, and find meaning in various contexts. However, the U.S. allowed students to foster the ultimate goal of art education, artistic literacy, by finding their own performance value and meaning and motivating them to continue their search through Essential Questions that are not covered in Korea. Second, the U.S. presented clear criteria with advanced learning content as an art process with hierarchy and continuity, and specified the contents of attitude along with artistic knowledge and functions, suggesting the need to enhance the concreteness and hierarchy of Korean curriculum cont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우리나라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국 국가핵심미술기준 내용 체계 및 성취(수행)기준 분석
Ⅳ. 분석 및 비교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현(Lee, Ji-Hyun). (2020).우리나라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국 국가핵심미술기준(NCAS in visual arts) 분석 및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7), 1-26

MLA

이지현(Lee, Ji-Hyun). "우리나라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국 국가핵심미술기준(NCAS in visual arts) 분석 및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2020):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