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개념의 교과교육적 확장 모델 연구

이용수 935

영문명
A Study of a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Matter 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경한(Kyong-Hah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4호, 511~54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7.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육 이론과 교육 실천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이론적 지식과 이분법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교과교육과 연계하여 예비교사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가르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PCK 개념의 교과교육적 확장 모델을 제시한다. 기존의 교사교육적 관점의 PCK 개념을 교과교육적인 관점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과별 배경학문의 내용 지식을 실천적 지식의 관점에서 변환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 전공 영역별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실천적 지식을 체계화하고 교사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실행연구지식을 PCK의 구인으로 확립하고 실행연구 능력을 배양 하는 교과목을 교원양성대학 교육과정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PCK의 개념을 교과교 육적 의미로 확장하게 되면, PCK의 개념은 교수 행위 측면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행위 측면을 모두 포괄하게 되어 교과 내용과 교육 방법의 통합을 지향하는 교원양성 대학 고유의 학문적 정체성을 대표하는 개념으로 자리매김될 수 있다. 나아가, 교사 교육은 교과교육과 하나로 연계되어 교사 전문성 배양에 시너지 효과를 냄으로써 고질적인 교육의 병폐인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 사이의 괴리 문제도 해소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need to establish and teach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systematically from the pre-service teacher stage by linking it with subject-matter education to cope with the problem of the gap between educational theories and educational practices, and for this matter discusses a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matter education. In order to expand the existing PCK concept in teach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matt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content knowledge of background disciplines by each subject in terms of practical knowledg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ction research knowledge as one of the constructs of PCK to systematize practical knowledge and to enhance teacher professionalism. Expanding the concept of PCK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matter education, the concept of PCK can encompass not only the aspect of the teacher’s teaching task but also that of the curricular task, making it a concept representing the unique academic identity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at combines the subject knowledge and the pedagogical method. Furthermore, it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gap between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by linking teacher education with subject-matter education, creating a synergistic effect on the reinforce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목차

Ⅰ. 이론과 실제와의 괴리
Ⅱ.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
Ⅲ. 실천적 지식과 PCK
Ⅳ. PCK 개념의 교과교육적 확장 모델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한(Kyong-Hahn Kim). (2019).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개념의 교과교육적 확장 모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14), 511-542

MLA

김경한(Kyong-Hahn Kim).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개념의 교과교육적 확장 모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4(2019): 511-5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