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안 및 우울의 관계

이용수 1321

영문명
Perceived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Gender Differences in Moderation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Entrapm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신혜진(Shin HaeJ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1호, 937~96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15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남ㆍ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안 및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속박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남 지역 4년제 대학에서 교양 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 34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을 구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대안을 제외한 모든 연구변인에서 성차가 나타나 불안,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 및 내․외속박감 수준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인지통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의 하위 요인 중 인지 통제는 남학생의 불안 및 우울, 여학생의 우울에 부적영향을 미쳤으나 인지대안은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또한, 내ㆍ외속박감 모두 남학생과 여학생의 불안과 우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는 학생의 성별에 따라 상이한 양상이 나타났다. 남학생 집단에서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통제가 부적 조절효과를 보인 반면, 여학생 집단에서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통제가 부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넷째, 속박감의 조절효과는 남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여학생 집단에서만 나타났는데, 지각된 스트레스가 블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외적속박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내적속박감이 각각 정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는 스트레스를 지각한 대학생의 불안 및 우울을 완화시키기 위해, 성별 뿐 아니라 인지적 유연성과 속박감의 하위유형을 모두 고려한 차별적인 개입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ubtype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entrapm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anxiety as well as depression. Gender differences in the moderating effects are also investigated betwee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345 college students(male 166, female 179).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test results confirmed gender differences in all the study variables, except for cognitive alternatives. To be specific, fe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perceived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internal/external entrapment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In contrast,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on cognitive control, compared to female students. Second, cognitive control had significant effects on male students’ anxiety and depression, as well as, on female students’ depression. Conversely, cognitive alternatives had significant influence neither on anxiety nor on depression. In additi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entrapment had positive effects on anxiety and depression regardless of gender. Third, gender difference existed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ubtype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entrapment. For male students, cognitive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For female participants, cognitive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anxiety. Fourth, internal entrap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students’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whereas, external entrap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anxiety among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혜진(Shin HaeJin). (2019).지각된 스트레스와 불안 및 우울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11), 937-965

MLA

신혜진(Shin HaeJin).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안 및 우울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1(2019): 937-9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